[축산신문 전우중· 권재만 기자]
“산업 넘어 생태계 위협…정확한 원인규명·대책 필요”
전국 양봉농가 월동 꿀벌 피해 조사 결과에 양봉업계가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농촌진흥청을 중심으로 한 민관 합동으로 최근 꿀벌 군집붕괴현상의 원인을 찾기 위해 ‘전국 양봉농가 월동 꿀벌 피해 민관 합동조사’를 실시했으나 이 결과에 대해 양봉 업계는 현장에서 납득하기 어려운 사실과 전혀 다른 내용이라고 주장했다.
민관 합동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번 벌집 붕괴현상은 지난해 발생한 꿀벌응애류, 말벌류에 의한 폐사와 이상기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한국양봉협회와 양봉업계는 이러한 결과에 대해 현장의 피해 양봉농가들은 수긍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피해 농가들은 한결같이 “40년을 같은 양봉기술을 적용해 사육해 왔으나 이런 경우는 올해가 처음 발생한 일”이라며, “이번 농진청의 발표대로라면 40년 전부터 이런 현상이 비일비재하게 발생됐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예로 등검은말벌의 경우 2003년 처음으로 발견된 이후 2012년을 기준으로 서쪽으로는 지리산, 북쪽으로는 강원도 삼척까지 계속 확산되고 있는 것을 감안할 때 등검은말벌의 확산에 맞춰 꿀벌 없어짐 현상이 함께 보고되었어야 함에도 이러한 예는 찾아볼 수 없다며 이 역시 신빙성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두리뭉실하게 결과를 발표하는 것은 말장난으로 밖에 비춰지지 않는다고 맹공을 퍼부었다.
특히, 농진청이 주장하는 이상기온으로 인한 봉군의 약화에 대해서는 지난 3년간 기상청 데이터를 비교 분석해 보았을 때 지난해 9~10월은 저온이 아닌 고온으로 나타났으며, 11~12월은 고온이 아닌 평균 저온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도 신뢰도 있는 근거로 발표해야 할 기관이 납득할 수 없는 주장으로 양봉인들을 기만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와 관련해 정현조 양봉협회 경남도지회장은 “조사 현장에서도 볼 수 없었던 농식품부는 어떻게 합동 조사 결과를 함께 발표할 수 있느냐?”고 되물으며 “관계기관에 대한 무성의한 태도에 울분을 토하고 싶다. 과연 대가축이 이러한 사태가 생겼다고 해도 뒷짐만 진 채 방관만 할 것인지 묻고 싶다”고 말했다.
특히, 정 지회장은 벌꿀들의 병성감정 질병통지서를 제시하며 “국립농업과학원과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꿀벌 시료를 채취해, 기관별로 따로 검사한 결과가 완전히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양봉인들은 탁상공론으로 만들어진 이번 발표를 신뢰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에 양봉업계는 “원인 파악조차 되지 않는 이번 벌집 붕괴현상에 대해 양봉인들 만의 일이 아님을 정부는 알아야 할 것”이라며, “꿀벌이 없어지면 양봉인의 피해를 넘어 하우스 작물재배농가, 꿀벌과 연관된 산업계로 이어져 결국 소비자인 국민들이 공급부족으로 인한 피해로 이어질 것으로 단언한다”고 주장했다.
양봉업계는 정부기관에서는 이러한 악영향이 지속 발생되지 않도록 정확한 원인규명과 대응책, 그리고 피해농가에게는 꿀벌 입식비용을 조속히 지원하는 등 꿀벌 생태 정상화에 적극 나서 줄 것을 촉구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