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서동휘 기자]
농식품부 전체 예산 20조350억원…6.9% 증가
친환경 직불금·저탄소 사료·분뇨자원화 확대
청년 스마트팜·사료구매자금 등 농가 안정 지원
2026년 농림축산식품부 예산안이 20조350억원으로 편성됐다.
이는 올해 예산 대비 6.9%(1조 2천934억원) 증가한 규모다. 축산분야는 9천97억원, 방역분야는 3천113억원 규모로 짜여졌다.
농식품부는 지난 1일 이 같은 내용의 ‘2026년 농식품부 예산안’을 확정, 발표하고 국회에 제출했다.
이에 따르면 친환경농업·축산직불금 예산이 올 360억원에서 448억원으로 확대, 친환경 축산 활성화를 위해 지원 단가와 농가당 지원 한도가 상향 편성됐다.
저탄소 농업 프로그램(축산)의 예산도 확대, 올 233억원에서 352억원으로 늘어났다. 이에 따라 메탄·질소 저감 사료 및 분뇨처리 방식 개선 등 온실가스 감축 활동을 확대할 수 있게 됐다.
탄소감축을 실천하는 저탄소농업프로그램(축산부분)에 ‘소 사육방식개선’ 활동을 도입해 8억원을 신규 배정했고, 경축순환 농업 활성화를 위한 가축분뇨 자원화 촉진하기 위해 723억원에서 739억원으로 확대했다.
축산분야 ICT 융복합 확산을 위해 497억원에서 534억원으로 확대했고 스마트팜 창업에 도전하는 청년들을 위한 임대형 스마트팜(약 285억원) 비용도 반영했다.
또 수입안정보험, 재해대책비를 확대함으로써 농가의 안정성이 강화될 예정이다. 가축재해보험을 1천99억원에서 1천102억원으로 확대하는 한편 농업인 등 경영 부담 완화를 위한 이차보전 등의 자금도 지원한다. 이를 위해 후계농·스마트팜 등 저금리 정책자금을 6천819억원에서 7천297억원으로 확대하고, 축산농가 경영 안정을 위해 사료구매자금은 9천500억원 규모로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가축전염병 예방 및 확산 방지 등을 위해 살처분보상금 696억원, 가축방역대응지원 968억원, 가축백신지원 556억원 등도 반영했다.
특히 눈여겨볼 부분은 새롭게 시작되는 ‘농어촌 기본소득 사업’이다. 농촌 주민들의 기본적인 삶을 보장하기 위해 인구감소지역 거주 주민(24만명)에 월 15만원을 지급하는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이 추진된다.
농촌 지역특화산업 육성 등 농촌 활력 제고를 위해 지역특화산업을 육성하고, 농촌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농촌관광콘텐츠 개발(농촌크리에이투어 등), 농촌 워케이션, 농촌 투어패스 등에 121억원을 지원한다.
또한, 복지 사각지대 해소와 여성농업인 특수건강검진 대상을 확대하며, 농업인 안전 재해보험 대상자를 확대, 956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농업인 건강·연금보험료(3천414억원) 및 농지 연금(2천469→2천766억원) 지원 확대로 농업인의 안정적인 노후생활도 보장한다는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국회에 제출한 2026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안이 최대한 확보·보완될 수 있도록 국회 심의단계에서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