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서동휘 기자] 농식품부 전체 예산 20조350억원…6.9% 증가 친환경 직불금·저탄소 사료·분뇨자원화 확대 청년 스마트팜·사료구매자금 등 농가 안정 지원 2026년 농림축산식품부 예산안이 20조350억원으로 편성됐다. 이는 올해 예산 대비 6.9%(1조 2천934억원) 증가한 규모다. 축산분야는 9천97억원, 방역분야는 3천113억원 규모로 짜여졌다. 농식품부는 지난 1일 이 같은 내용의 ‘2026년 농식품부 예산안’을 확정, 발표하고 국회에 제출했다. 이에 따르면 친환경농업·축산직불금 예산이 올 360억원에서 448억원으로 확대, 친환경 축산 활성화를 위해 지원 단가와 농가당 지원 한도가 상향 편성됐다. 저탄소 농업 프로그램(축산)의 예산도 확대, 올 233억원에서 352억원으로 늘어났다. 이에 따라 메탄·질소 저감 사료 및 분뇨처리 방식 개선 등 온실가스 감축 활동을 확대할 수 있게 됐다. 탄소감축을 실천하는 저탄소농업프로그램(축산부분)에 ‘소 사육방식개선’ 활동을 도입해 8억원을 신규 배정했고, 경축순환 농업 활성화를 위한 가축분뇨 자원화 촉진하기 위해 723억원에서 739억원으로 확대했다. 축산분야 ICT 융복합 확산을 위해 497억원에서
[축산신문 서동휘 기자] 농림축산식품부의 이행계획서 접수 후 후속조치 추진상황이 알려지자 축산단체들이 이에 기민하게 대응하고 있다. 지난 9월 27일까지 전국 적법화 대상 농가 중 94%의 농가의 이행계획서가 접수된 가운데 본격적인 이행절차에 돌입했기 때문이다. 축산관련단체협의회(회장 문정진, 이하 축단협)는 이행계획서 접수가 마감된 직후 관계 부처로 하여금 시·군·구 등 지자체에 충분한 이행 기간을 부여토록 조치해줄 것과 지자체가 운영하고 있는 적법화 T/F에서 제출된 이행계획서에 대한 적정성을 평가하기로 돼 있는 만큼, 적법화 T/F에 축산농가(조합·농가대표 등)도 참여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청했었다. 그 결과가 집계 된 것이다. 축단협에 따르면 후속 조치 추진상황은 지자체별로 사정이 조금씩 다르다. 적법화 T/F에 축산농가 대표가 참여하는 건과 관련해서는, 63.7%가 참여했고 36.3%가 참여치 않았다. 미참여 사유로는 이행기한을 일괄(1년, 10개월)적으로 부여한 경우 농가대표의 참여 등의 절차가 불필요하다고 판단됐기 때문으로, 해당 지자체서는 이행 기간 부여 시 개별적으로 축산농가의 의견을 수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행 기간 부여와 관련해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