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일부 생산자단체에서는 해외사례를 들며 시기상조라는 반응을 보이는 등 이견도 표출되고 있다. 건국대학교 김정주 교수는 지난 9일 농협중앙회 가금수급안정위원회의 의뢰를 받아 실시해온 ‘계란공판장 설치 및 공정 거래가격 구축방안 조사연구’ 중간보고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서울 충정로 소재 농협중앙회 소회의실에서 열린 이날 보고회에서 김정주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유통되는 100억개의 계란 가운데 72%를 도매상이 담당하고 있으며 생산자단체와 대형유통업체가 각각 9%씩을, 나머지 12%는 군납과 같은 대량수요처에 직거래로 유통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유통과정에서 채란농가와 계란 유통상인, 소비자간 가격에 대한 불신이 쌓여가고 있는 것으로 지적했다. 김 교수는 이러한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한 대책으로 농협과 같은 공공기관에서 대량 소비처인 수도권에 계란의 선별 및 포장(GP)기능을 겸비한 계란공판장을 설치 운영하는 방안이 검토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곳에서 채란농가가 계란을 공급할 수 있는 기준가격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정부와 계란품목조합·유통상인·대형유통업체 등이 참여하는 ‘NH안심계란’ 회사를 산업의 대표조직으로 육성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는 농협의 경우 계란유통센터 및 가공장 설립을 통해 매일 계란거래가격을 발표함으로써 전국계란가격의 기준을 제시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져 그 실현 가능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날 보고회에 앞서 농협 축산지원부 배효문 부장은 인사말을 통해 “정부 지원하에 오는 24일 안심계란을 출시하게 됐다”며 농가가 생산한 계란을 제값을 받고 판매해 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임을 밝히기도 했다. 이에대해 대한양계협회 황일수 상무는 “일본의 경우 젠노(全農, 일본 농협의 경제사업전국연합회)의 자회사인 JA전농계란(주)에 의한 가격결정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지만 문제점이 적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제, “외국에서도 협회에서 농산물가격을 발표하는 사례가 많고 일본도 우리나라의 가격결정 시스템을 부러워하고 있는 만큼 가격결정구조를 바꾸는 것은 아직 이르다”며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한편 한국계란유통협회 강종성 회장은 “계란은 그 특수성으로 인해 유통상인들이 아닌 대형유통에 의해 가격이 책정되고 있다”면서 “더구나 등급란이 제값을 받는다고는 하지만 일반란의 경우 등외제품으로 취급받는 경우가 많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