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5 (금)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가금

생산자 주체 GP센터가 유통문제 탈출구

■양계협주최 토론회 중계 ② 계란유통구조개선

[축산신문 노금호 기자]
 
‘계란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대토론회’<사진>가 지난달 22일 대전 리베라호텔에서 열렸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안영기 대한양계협회 채란분과위원장이 좌장을 맡았고 변동주 농림수산식품부 축산경영과 사무관, 정준규 양계협회 전남도지회장, 이덕선 경기도 이천채란지부 회원, 홍인식 경북도지회 채란분과위원장 등이 참여했다.

농가피해·판로 걱정없는 집하장 건설 필요
파란처리·운영주체 결정 등 사전준비 우선


▲변동주 사무관=계란집하장이 영세하다. 전국에 40여개 집하장이 있지만, 농가단위 소규모가 대다수다. 대규모는 농협 또는 양계조합 등 5~6개에 불과하다.
양계협회에서는 TF팀을 구성해 집하장 개선에 힘쓴 것으로 알고 있다. 집하장이 농가 이득을 높이는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지만, 추진할 때는 철저한 사전준비가 필요하다.
유통경로를 면밀히 살펴야 하고, 자금조달을 고려해야 한다. 정부지원에 의존해서는 안된다. 마케팅 전략 역시 간과해서는 안된다. 이외에도 가공품 개발, 경영 등을 두고 고민과 의견을 나눠야 한다.

▲이덕선 회원=친환경 축산 등 정부정책에 의해 산란계 농가 숫자가 줄고 있다. 그렇지만, 사육 숫자는 증가추세다. 농가현장을 고려한 정부 정책 수립이 아쉽다.
이천지역에서는 상인과 생산자 사이에 계약서를 작성키로 했다. 계란 품질에 따라서 계약서가 마련된다.

▲좌장=현재 계란체계는 생산자와 유통인이 직접 거래하기 때문에 공식적인 시세형성이 어렵다. 또한 선출하 후 정산 관행이 깊게 자리하고 있어 농가들이 불리하다.
농가는 판로에 집착하지 않고 계란 품질향상에만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 내년부터는 유통 상인들도 등록제를 시행한다. 등록증을 가지고 거래하게 되면 선의의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통합집하장은 운영주체를 결정하는 것이 고민거리다. 전남에 있는 ‘녹색계란 주식회사’가 양계조합을 제외한 생산자들이 가장 많이 모여서 만든 영농조합법인이다. 농가들이 바라는 근접한 모델이라고 본다. 앞으로 모범사례가 돼야 한다.

▲정준규 도지회장=생산자가 생산에만 걱정해도 모자른 판에 유통까지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 안타깝다. 전남은 40명 농가가 모여서 계란집하장(유통 GP센터)을 만들었다. 현재는 업체 선정 공고를 낸 단계다. 업체선정이 마무리되면 7월 1일부터 시공에 들어가 3달 후에는 GP센터가 운영될 것으로 보인다.
GP센터를 통해 가공 뿐 만 아니라 식당납품 등 다양한 수익모델을 창출할 계획이다.

▲홍인식 위원장=유통상인들이 파란을 기피하고 있다. 유통 가능한 파란을 가공란이나 액란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일본의 경우 이러한 제도가 마련돼 있다. 파란을 무조건 폐기시키는 것은 자원 낭비다. 농가로서도 피해가 이만저만 아니다.
집하장은 생산자 단독으로 할 것인지, 생산자와 유통인이 손을 잡고 할 것인지를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생산자와 유통상인이 힘을 합쳐서 대기업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