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17.1℃
  • 맑음강릉 16.1℃
  • 맑음서울 16.8℃
  • 구름조금대전 17.0℃
  • 맑음대구 17.6℃
  • 구름조금울산 18.5℃
  • 맑음광주 18.7℃
  • 맑음부산 21.0℃
  • 구름조금고창 17.7℃
  • 맑음제주 20.8℃
  • 맑음강화 15.8℃
  • 맑음보은 16.2℃
  • 맑음금산 16.5℃
  • 구름조금강진군 20.4℃
  • 맑음경주시 18.9℃
  • 구름조금거제 18.2℃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종합

가축 사육 두수 전반 감소…한우·젖소 감소세, 육계만 큰 폭 증가

국가데이터처, 3/4분기 가축동향조사 발표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국가데이터처는 지난 10월 24일 ‘2025년 3분기 가축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축종별 수급조절에 참고가 될 만한 가축 사육마릿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한·육우와 젖소는 가임 암소 감소의 영향으로 사육 마릿수가 전년 동기 대비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인 반면, 산란계는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했으며, 육계는 전년 동기 대비 약 10% 가까이 크게 증가하는 등 품목별로 상반된 동향을 나타냈다.

 

◆한·육우

2025년 3/4분기 한·육우 사육 마릿수는 342만2천 마리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15만8천 마리(-4.4%) 감소했으며, 전분기 대비로도 3만8천마리(-1.1%) 감소했다.

가임 암소의 지속적인 감소 추세가 이어지면서 연령별로 사육 마릿수가 모두 줄어들고 있다.

1세 미만 마릿수는 전년 동기 대비 6.1% 감소했으며, 1~2세 미만 마릿수도 전년 동기 대비 7.6% 줄었다. 2세 이상 마릿수 역시 전년 동기 대비 1.5% 감소했다.

현재 사육 중인 가임 암소수도 2023년 9월 171만5천 마리에서 2025년 9월 161만8천 마리로 꾸준히 줄어들고 있다.

 

◆젖소

젖소 사육 마릿수는 37만2천 마리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8천마리(-2.1%) 감소했으나, 전분기 대비로는 2천마리(0.5%) 소폭 증가한 수치다.

사육 마릿수 감소 원인으로는 가임 암소의 감소로 인해 연령별 마릿수가 줄어든 것이 특징이다. 1세 미만 2.8%, 1~2세 미만 4.1%, 2세 이상 1.3%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

가임 암소 수 역시 2025년 9월 기준 29만3천 마리로 전년 동기(29만8천 마리) 대비 감소했다.

 

◆돼지

돼지 사육마릿수는 1천103만7천마리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4만5천마리(-1.3%) 감소한 수치다. 모돈의 감소와 폭염 등으로 인한 폐사 마릿수 증가에 기인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전분기와 비교했을 때 14만1천마리(1.3%)가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이는 모돈 수가 전분기 대비 증가했기 때문이다.

 

◆산란계

산란계 사육 마릿수는 8천108만3천마리로 전년 동기 대비 53만8천마리(0.7%) 늘었으며, 전분기 대비 335만9천마리(4.3%) 증가했다.

이는 산란종계의 증가와 산란 노계의 도축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만8천마리(0.7%) 증가한 수치다.

 

◆육계

육계 사육마릿수는 9천425만3천마리로, 전년동기 대비 851만6천마리(9.9%) 증가하고 전분기 대비 1천551만마리(-14.1%) 감소했다.

이는 육용종계 도축 감소로 육계 병아리 입식이 11.4% 늘어났기 때문이다.

 

◆오리

오리 사육마릿수는 919만마리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5만1천마리(-0.6%) 감소했으며, 전분기 대비로는 125만3천마리(-12.0%) 큰 폭으로 감소했다.

육용 새끼오리 입식 마릿수는 전년 동기 대비 1.5% 감소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