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란계 농가가 전구색 LED를 사용할 경우 산란율을 유지하면서 전기에너지까지 절감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받고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은 전구 선택에 따른 산란율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산란계사에 백열전구와 주광색 LED, 전구색 LED를 조도 20lux로 맞추고 4주 동안 실험했다. 그 결과 백열전구를 사용한 계사의 산란율은 76.2%, 주광색 LED는 72.83%, 전구색 LED 75.45%로 나타났다. 주광색의 경우 형광등과, 전구색은 백열전구와 비슷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실험결과는 백열전구와 유사한 파장을 가진 전구색 LED를 사용해야 그 효과를 극대화 할수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로 받아들여진다. 즉 LED 전구라도 색상 선택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LED 전구를 이용할 경우 기존 백열전구를 사용했을 경우보다 전기에너지를 86% 절감할 수 있음도 확인했다. 이에따라 현재 우리나라에서 1억2천만수의 닭을 사육하며 연간 17만 5,000MWh의 전력을 소비하고 있는 만큼 LED로 전환시 46억1천만원 정도의 전기료(농업용 전기료 30.6원 기준)를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는게 축산과학원의 분석이다. 농촌진흥청 가금과 서옥석 과장은 “LED 조명은 소비전력이 매우 낮을 뿐 아니라 기존 백열전구와 비슷한 파장의 전구색 LED를 이용할 경우 생산성도 비슷하다”며 “앞으로 육계농가와 오리농장에서 필요한 LED 점등기술도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