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장> ▲최성갑 대한양계협회 종계부화분과위원장 <지정토론자> ▲안태협 대한양계협회 논산종계 지부장 ▲연진희 대한양계협회 충북종계협의회 사무국장 ▲박갑순 대한양계협회 부여종계협의회 부회장 ▲전종귀 대한양계협회 익산종계지부 사무국장 ▲고도욱 한국원종 대표 농가-계열사 대화 통한 ‘상생’ 방안 강구 시설개선·사양기술 향상…경쟁력 강화 ▲좌장 최성갑 위원장=농가와 계열사간의 계약문제는 여전히 난해하다. 일부 계열사가 종란가격을 올렸다고는 하지만, 이런저런 계약내용을 따져들어가면, 결국 예전과 다를 바 없다. 특히 원가이하의 종란가격이 존재하는 게 현실이다. 종란 납품가격이 300원은 돼야한다는 것이 농가들 목소리다. 하지만, 이러한 계열사는 아직 한곳도 없다. 농가들이 힘을 합칠 때 종란값 현실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안태엽 지부장=농가와 계열사는 수평적인 관계이어야 한다. 하지만, 계열사가 위에 있는 수직적인 모습이다. 농가는 종계품종이 무엇인지 조차 모른다. 소유권 역시 불분명하고, 도태권도 계열사가 진행토록 돼 있다. 종란 생산비는 281원80전이다. 하지만, 국내 9개 계열사의 경우 가장 높게 책정한 곳이 267원이다. 생산비를 밑도는 것이 종란납품 가격 현실이다. 농가들이 조직으로 대응하면,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 계약서 내용 중 잘못된 부분은 삭제해야 한다. 보통 종계당 1년 종란생산 150개를 계약서에 명시하고 있지만, 대다수가 150개 미만이다. 부화장이 대형화되면서 생산율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연진희 사무국장=계약의 첫번째 원칙은 공정거래다. 생산자와 수요자간에는 상호간 존중이 전제돼야 한다. 하지만, 농가와 계열사간에는 공정거래 원칙이 깨진지 오래다. 이 경우 정부의 적극적 개입이 원만한 관계를 유지토록 하는 핵심키다. 정부가 시장경제 논리를 앞세워 계열사 입장에 선다면, 양계인은 어쩔 수 없이 국제기구를 통해 중재를 할 수 밖에 없다. 공정거래를 위해 농가들이 양계협회를 중심으로 뭉쳐야 한다. ▲박갑순 부회장=계열사에서는 대형종계부화장을 설치하고, 종란을 수입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입질병이 우려된다. 각 종계장에서 아무리 차단방역을 한다고 해도 계열사가 협조하지 않으면 질병발생을 막을 수 없다. 상생해야 한다. 계열사는 시세차익에 대해 농가에 돌려주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것이 종계산업을 활성화하는 길이다. 75% 부화율에 만족하지 말고, 더 높일 수 있는 시스템을 찾아야 한다. ▲전종귀 사무국장=계열사의 계약서에는 감가상각비가 반영되지 않고 있다. 예를 들어 2만수 규모의 농가의 경우 수당 연간 종란 140개를 납품하면, 감가상각비를 감안해서 월 172만3천원을 번다는 계산이 나온다. 180개를 납품하는 농가는 월 1천691만원의 이익금(감가상각비, 농가이익포함)을 받는다. 하지만, 이러한 농가는 하나도 없다. 반대로 120개를 납품하고 감가상각비가 배제되면 오히려 493만원을 손해를 보게 된다. 계열사는 농가와의 대화를 통해 애로사항을 들어보고 상생의 길을 찾아야 한다. ▲고도욱 대표=농가들도 공부를 해야 한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종계는 고도로 육종돼 있는 것이다. 한주만이라도 체중을 조절하지 않거나 조명을 확인하지 않으면 지금 있는 닭들은 성적을 내지 못한다. 시설을 개선하고 사양기술 등을 높여나가야 한다. 현재 중국의 GPS는 100만수가 사육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17만수 밖에 안된다. 농가와 계열사들은 국제적으로 대응할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생각되며, 이를 바탕으로 종계산업 경쟁력을 키워야 할 때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