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농육우협회는 지난 4일 열린 총회에서 우유 및 육우 소비확대를 주요 골자로 하는 대정부 건의문을 채택했다.
생산자 단체가 농가들에 대한 직접 간접적 지원책 마련을 촉구하는 내용이 아닌 소비확대를 주 내용으로 하는 건의문을 내놓은 것에 대해 한번쯤 짚어보고 넘어갈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지난해 원유가격연동제가 도입되면서 증가하는 생산비를 유대에 반영할 수 있는 제도적 기틀이 마련됐다. 논란이 있을 수 있겠지만 농가입장에서 생산비에 대한 부담을 덜게 된 것 만은 사실이다. 낙농생산현장에서는 생산에만 매진하면 큰 어려움 없이 목장을 운영할 수 있는 상황이 된 것이라 볼 수 있다. 물론 지금까지도 원유가격연동제에 대한 논의는 지속되고 있다.
때문에 지금 낙농산업에 있어 무게중심은 낙농가의 수익성 보장보다는 지속가능성 곧 안정성으로 넘어가고 있다고 보여진다.
이번 협회의 건의문을 보면 ▲제도적 우유소비확대 ▲국산 유제품 생산 확대 ▲육우고기 판매처 확대 및 육우송아지 공급기반 마련 등 총 4개 항목 중 3개 항목이 생산물의 소비유통과 관련된 내용이며, 그 외 한 가지 또한 비용절감 및 환경, 분뇨대책 마련으로 직접적 농가 지원의 성격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낙농산업이 지속될 수 있도록 보호할 수 있는 대책을 촉구하고 있다.
국제 유제품가격이 급등하고 있는 시점에서 소비대책 마련의 촉구는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보여진다.
안정적 소비기반 마련이야말로 장기적 관점에서 산업을 보호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보호막이며, 경제발전으로 인해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유제품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는 지금, 낙농산업의 지속가능성은 매우 중요한 문제임에 틀림없다.
소비기반 확보가 중요하고, 생산현장에 대한 지원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은 아니다. 다만 지금 당장 이런 준비들을 해두지 않으면 머지않아 닥치게 될 어려움에 대처할 수 없을 것이라는 점만은 강조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