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8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인터뷰

<차한잔> “국내 축산발전 기여가 제품선택 제1 기준”

신창섭 베링거인겔하임동물약품 상무

[축산신문 김영길 기자]

 

필수 약품, 손해나도 공급
다국적기업도 축산동반자

 

신창섭 베링거인겔하임동물약품 상무는 “다국적 동물약품 기업도 국내 축산농가의 동반자”라고 말문을 열었다.
축산농가들의 눈에 가끔씩 다국적 동물약품 기업이 폭리를 취하는 장삿꾼이라고 비춰지고는 하는데, 결코 그렇지 않다는 토로다.
신 상무는 “물론, 수입제품이 국내 동물약품보다 비싼 측면이 있다. 하지만, 전부는 아니다”라며, “일부 제품의 경우는 국내 축산산업에 꼭 필요하다고 판단, 손해를 감수하면서도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 상무는 “국내 축산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 제품선택의 첫번째 기준”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제품을 들여오기 전, 국내 질병발생 현황을 살피고 그 질병을 예방하거나 신속히 치료할 경우, 농가에 돌아가는 이득을 중점 고려한다”고 설명했다.
신 상무는 특히 다국적 동물약품 기업의 국내시장 점유율 확대를 두고 “다국적기업은 아무래도 전세계를 대상으로 마케팅 전략을 짜기 때문에 선투자에 대한 잇점이 있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이어 “국내 동물약품 품질력이 다국적기업과 비교해 떨어진다고는 할 수 없다”라며 “예를 들어 PED나 돼지열병 백신은 먼저 접근하고, 소프트웨어를 보완한다면 충분히 세계시장에서도 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조언했다.
신 상무는 다국적 동물약품 기업이 바깥에서 봤을 때 “국내 시장은 매력이 있다”고 전했다.
국내 축산시장이 규모가 적지 않을 뿐 아니라 안정적인 성장세가 유지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라는 부연.
그는 “아시아 시장을 두고, 세계 각국이 회의를 하게 되면, 종종 한국 축산시장이 도마위에 올라온다”라며, 한국시장에서 성공못하면 다른 나라에서도 성공못한다는 분위기가 팽배하다고 피력했다.
신 상무는 “국내 축산 발전에 도움을 주고 싶다”라며 앞으로도 우수 제품을 소개해 질병을 해결하고, 생산성 향상을 이끌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