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장 토지·건물 영농자녀 증여컨설팅 축산현장 실전사례 (4) 일부 증여 통한 승계 자녀에게 농장의 토지 및 축사를 일부만 증여해서 가업(축산업) 승계를 진행한 사례다. 해당 농장 토지 및 축사의 일부 증여의 자산평가액은 4억8천만원으로 증여세금 없이 증여를 할수 있는 금액이었다. 농장 경영주인 부친은 20년전 부터(증여일 기준 최소 3년이상 되어야 함) 농장을 운영했고 실제 농장 인근에서 거주했다. 이에 축산업허가증과 사업자등록증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농장을 직접 경영하는 기간동안(증여일기준 최소 3년이상) 다른 사업소득이나 급여가 3천700만원 이상이 된 적이 없었기에 모든 증여세 감면 요건도 갖췄다. 증여를 받는 자녀 또한 증여 이후 최소 5년이상 농장 인근에 거주하면서, 다른 사업소득 내지 급여 소득 없이 농장을 실제 경영할 계획이었기에 증여를 진행했고, 그 결과 증여세 감면을 문제없이 받을수 있었다. 증여후 5년이상 직접 영농해야 영농자녀 증여세 감면요건은 위에 언급한 여러 가지 요건이 있으나 그 중에서도 특별히 주의 할 사항은 증여를 하는 아버지도, 증여를 받은 자녀도 해당 요건에서 정한 ‘아버지는 3년, 아들은 증여 이후 5년 동안 농업 소득이나 부
[건국대학교 KOICA 베트남 축산고등교육 사업단 제공] 룰라 브라질 대통령 건설계획 밝혀 브라질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대통령이 ‘베트남-브라질 경제 포럼’에서 베트남에 1억 달러 규모의 쇠고기 가공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룰라 대통령은 양국의 무역 규모가 협력 수준에 비해 부족하다며 교역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전략적 협력 강화를 위해 공동 투자, 과학기술 진흥 기금 설립, 민간 기업 간 교류 확대, 제도적 장벽 완화 등을 제안했다. 팜 민 찐(Phạm Minh Chinh) 베트남 총리는 베트남이 아세안 시장 진출을 위한 브라질의 전략적 거점이 될 것으로 전망, FTA 체결, 투자 보호, 비자 면제 등 제도적 기반 마련을 위한 양국의 협력을 강조했다. 모돈 2천400두 스마트단지 6월 가동 뚜옌꽝(Tuyen Quang)시 찌엠호아(Chiem Hoa)군 디엥(điểng) 마을에 조성 중인 모돈 2천400두 규모의 스마트 사육단지가 공정률 90%를 기록하며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 해당 프로젝트는 홍 팟(Hồng Phat) 농업투자주식회사에 의해 추진됐으며 오는 5월 완공돼 6월부터 본격 가동될 전망이다. 전체 부지 면적은 7헥타
[건국대학교 KOICA 베트남 축산고등교육 사업단 제공] 타이응우옌시, 정부-기업 협력 확대 베트남 정부가 스마트축산 기술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최근 타이응우옌시는 스마트 축산 기술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질병 예방 시스템 강화에 나서기로 했다. 해당시에 따르면 관내 1천255개 농장 중 상당수가 스마트 축산 기술을 도입했으며, 일부 농장은 닭장과 돈사에 자동 온·습도 조절, 사료 및 급수 자동화, 스마트 농장 관리 소프트웨어 등을 적용하고 있다. 타이응우옌 시의 축산업 디지털 전환은 생산성 향상, 비용 절감, 질병 예방 효과를 극대화하는 중요한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다. 정부와 기업이 협력해 디지털 기술 보급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축산단지 절차 간소화, 금융지원 요청 하노이시 역시 각 지방과 협력, 첨단 기술을 적용한 축산 시스템을 확대하고, 축산업 종사자들에게 최신 기술 교육 및 기술 이전을 지원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 이를 통해 스마트 축산 운영 방식을 확대하고, 현대적 기술을 접목해 축산업 발전을 촉진할 계획이나 해결해야 할 과제 역시 다수 존재한다. 이에 일부 농장주와 협동조합 관계자들은 축산 단지 조성을 위한 절차 간소화, 스마트
[건국대 KOICA 베트남 축산고등교육 사업단 제공] # 타인호아(Thanh Hóa) 구제역 10일만에 종식 타인호아(Thanh Hóa)시 축산수의국에 따르면 타인타인(Thạch Thành)군 타익빈(Thạch Bình)지역 발생한 구제역이 10일 만에 완전히 통제됐으며, 현재 추가 감염 사례는 발생하지 않고 있다. 발병 직후 역학조사를 진행, 감염원을 추적하는 한편, 백신 접종, 감염 가축의 살처분 및 격리 조치를 시행했다. 아울러 감염 발생 지역 뿐만 아니라 예방 차원에서의 인근 지역 백신 접종도 시행했다고 밝혔다 타인호아시 인민위원회는 구제역 확산 방지를 위해 가축 개체수의 정확한 조사를 토대로 2025년 1차 백신 접종을 준비하고 환경 소독 및 방역을 철저히 시행할 것을 각 지방 정부 및 관련 기관에 지시했다. 감염 가축의 불법 이동 및 불법 도축도 엄격히 단속토록 했다. # 하장(Ha Giang), 황소고기 시장 성장 하장(Ha Giang)시의 대표적 특산물인 황소고기(보 몽, Bo Mong)가 뛰어난 육질과 풍미, 높은 영양가로 호평받으며 베트남 시장에서 점점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비쑤옌(Vị Xuyen) 군 깟리(Cat Ly) 협동조합
[건국대 KOICA 베트남 축산고등교육 사업단 제공] 베트남. 동남아 국가 가운데 경제성장률이 가장 두드러지는 나라이자. 국내 기업들의 진출과 투자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특히 경제 성장과 함께 육류 소비가 급증, 축산업 또한 급속 성장하면서 국내 축산업계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따라 베트남 현지에서 활동하고 있는 건국대학교 KOICA 베트남 축산고등교육 사업단(KUVEC)으로부터 베트남 축산의 최신 소식을 제공받아 게재할 예정이다. 육류생산량 5.4%↑ 베트남 농업농촌개발국에 따르면 지난해 베트남의 육류 생산량은 전년 대비 5.4% 증가하며 800만톤을 넘어섰다. 축산 제품 수출액도 5억3천300만 달러로 6.5% 증가했다. 사료 및 사료 원료 수출도 10억 달러를 상회했다. 베트남 농업농촌개발국 팜킴당(Pham Kim Dang) 축산부 국장은 축산용지 관련 내용이 개정된 토지법에 포함된 것을 2024년의 중요한 성과로 평가해 관심을 모았다. BBB 교잡우 심화 사육기반 마련 꽝지성 농업진흥센터는 2024년 육우 개량 프로그램의 성과를 바탕으로 한 ‘육우 심화 사육 및 제품 소비 연계 지원 모델’ 추진을 통해 육우 심화 사육 모델을 발전시키고 있다.
[축산신문 서동휘 기자] 냄새 근본 원인 제거로 지속가능한 양돈업 선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세화리에 위치한 동부축산(대표 김태우)은 축산환경에 대한 인식이 지금과 달랐던 약 20년 전부터 ‘친환경 축산’에 대한 관심과 신념이 확고했던 농장으로, 지난 2009년 전국에서 6번째로 환경친화축산농장으로 지정된 농장이다. 이후, 현재까지 인증을 유지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HACCP(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 무항생제축산물, 깨끗한 농장 인증까지 획득해 다방면에서 친환경 축산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이는 김 대표가 단기적인 수익보다는 장기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순환 시스템 구축에 힘을 쏟고 있는 노력이 반영된 결과다. 냄새 저감과 주변 정리를 통한 지역주민과의 상생 노력을 계속하면서, 가축분뇨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퇴비를 인근 당근, 감자, 무 등을 키우는 농가에 환원하는 순환 농업을 실현하고 있다. 동부축산에서 제공하는 퇴비는 품질이 뛰어나 농가들로부터 인기를 끌고 있기도 하다. 20년 이어온 친환경 축산 실천…상생의 롤모델 축분뇨 퇴비화로 지역 농가와 자원 순환 실현 ‘고착슬러지’ 제거로 청정 축산 실현 동부축산은 무엇보다도 지역주민과의 상생을 위해서는
[축산신문] Q. 암송아지 첫 발정 시기에 대해 문의합니다. 어린 송아지를 6개월까지 암수 같이 키우다가 이후에 분리하고 있는데요. 조금 빠른거 같아서 7~8개월쯤 나눌까 하는데 암송아지가 혹시나 발정이 와서 자연수정이 될까 걱정입니다. 암송아지 첫 발정 시기가 최소 언제쯤 진행되나요? A. 김덕임 박사(농협축산컨설턴트)=첫 발정은 준비단계라고 보면 됩니다. 춘기발동기라 합니다. 이때는 완전한 번식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암놈이 그렇다는 이야기입니다. 수놈은 좀 다릅니다. 정자는 이미 만들어져서 충분히 임신을 시킬 수 있습니다. 결론은 바로 암수 분리 후 사양관리를 하는게 좋습니다. 성성숙 특히 암놈한테 적용된다고 보면 됩니다. 보통은 생후 10개월 전후라고 하지만 그 이전에도 임신은 가능합니다. 문제는 이른 시기에 수정이 되어 어미소는 작은데 송아지만 커지면 어떻게 될까요? 난산 혹은 폐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요즘 종모우의 도체중 등단면적을 고려한 교배조합을 고민하게 되는 것입니다. 추천하자면 적어도 13~14개월령에 수정이 될 수 있도록 하십시오. Q. 경산우인데요. 소변을 너무 많이 누어 우방이 2주일 정도 되면 진흙땅처럼 변해 우방에 1마리
김 민 수 애그스카우터 대표(농업경제학 박사) [축산신문] 우크라이나의 유럽연합 및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가입 추진을 빌미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지도 벌써 3년이라는 세월이 흘렀다. 막대한 군사력을 가진 러시아가 순식간에 우크라이나를 함락할 것이란 예상과 달리 우크라이나의 항전은 거셌으며 장기전에 돌입했다. 우크라이나의 대부분 토지는 체르노젬(Chernozem)이라는 점토질 흑토여서 봄과 가을에는 토양이 진흙탕으로 변하고 길이 없어지는 현상인 라스푸티차(Rasputitsa)가 발생한다. 1812년 나폴레옹이 러시아 원정에 실패하고, 세계 2차 대전 당시 독소전쟁에서도 독일군에게 막대한 손실을 안겨 줬던 전례를 이번 우크라이나 전쟁에서도 러시아가 답습한 꼴이 됐다. 러시아가 쏘아올린 미사일로 인해 ‘유럽의 빵바구니’로 불리는 세계 대표적인 농업 대국인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출길이 막혔으며 세계는 곡물 가격의 폭등과 애그플레이션(Agflation)의 위기를 겪었다. 우크라이나는 호밀과 해바라기씨를 세계에서 가장 많이 수출하고 있으며 보리는 세계 3위, 옥수수는 세계 4위, 대두는 세계 7위 수출국이다. NATO 회원국이면서도 러시아와의 우호적인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