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산 쇠고기 공급량 감소…수입은 증가
외식·가정 수요 위축…거세우 경락가격 약보합세 지속
2025년 1월 한우 시세는 군 급식, 각종 신년 모임 행사, 한우 할인판매 행사, 설 명절 등으로 인한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고금리, 고물가로 인한 외식 수요 위축 및 가정 내 수요 위축 등으로 인한 수요 감소와 도축 두수 증가로 인한 공급량 증가의 영향으로 전월대비 약보합세를 보였다.
성별로 전월대비 경락가격 증감률을 보면 암소 97.9%, 수소 96.0%, 거세 98.9%로 전월대비 암소 2.1%, 수소 4.0%, 거세 1.1% 하락하였다.
육질등급별로 보면 거세는 1++는 약강세, 1+는 보합세, 1등급과 2등급은 약보합세, 3등급은 약세를 보였다. 암소는 1++와 1+는 약강세를 보였으나, 그 외의 등급은 약보합세를 보였다.
6개월령~7개월령 송아지 산지시세를 보면 전월대비 수송아지는 공급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입식 수요 감소의 영향으로 약보합세를 보였으나, 암송아지는 번식 의향 증가의 영향으로 약강세를 보였다.
쇠고기 공급적인 측면을 보면 1월 한우 도축두수는 10만7천931두로 전월대비 114.0%로 14.0% 증가하였으나, 전년동월대비는 87.2%로 12.8% 감소하였다.
성별 경락두수 비율은 암소 61.8%, 수소 33.6%, 거세 66.0%로 전월대비 암소 0.8%, 수소 9.9% 감소하였으나, 거세는 0.4% 증가하였다.
암소 도축률은 45.2%로 전월대비 0.8% 감소하였으며, 전년동월대비도 1.9% 감소하였다.
정육 생산량은 전월대비 115.4%로 15.4% 증가하였으나, 전년동월대비는 88.5%로 11.5% 감소하였다.
1월 쇠고기 수입량(검역기준)은 3만4천362톤으로 전월대비 86.3%로 13.7% 감소하였으며, 전년동월 대비도 83.6%로 16.4% 감소하였다.
쇠고기 수입량 중 냉장육 점유율은 21.8%로 전월대비 1.2% 증가하였으나, 전년동월대비는 1.0% 감소하였다.
국가별 수입량은 전월대비 뉴질랜드와 덴마크는 증가하였으나, 그 외의 국가는 감소했다.
1월 쇠고기 수요 동향을 보면 거세는 등심, 채끝, 앞다리, 목심, 양지의 수요는 증가하였으나, 그 외의 부위의 수요는 감소하였다.
암소도 채끝, 앞다리, 목심, 사태 설도의 수요는 증가하였으나, 그 외의 부위 수요는 감소하였다.
향후 1개월(’25년2월 20일~3월 20일)간 공급적인 측면과 수요적인 측면을 살펴본다.
공급적인 측면은 도축두수는 1월대비 감소하여 국내산 쇠고기 공급량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나, 쇠고기 수입량은 1월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요적인 측면은 학교 개학으로 인한 학교급식 수요 증가와 봄꽃 축제 및 가족 단위의 행락객 증가로 인한 수요는 증가에도 불구하고. 고금리, 고물가로 인한 외식 수요 위축과 가정 내 수요 위축 등으로 인하여 수요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1개월간(’25년2월 20일~ 3월 20일) 한우 거세우 경락가격은 1월대비 보합세 내지 약보합세가 예상되며, 6~7개월령 암송아지와 수송아지 가격도 공급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입식 수요 감소의 영향으로 1월대비 보합세 내지 약보합세가 예상된다.
<소우마음 이은주연구소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