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7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종합

이번엔 닭 줄기세포배양 성공

서울대학교 수의대 황우석 교수의 줄기세포에 이어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생명공학부 한재용 교수팀도 닭줄기세포배양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축산관련 과학자들이 세간에 관심사가 되고 있다.
서울대 동물생명공학부 한재용 교수 연구팀과 아비코아 생명공학연구소(대표 김진남)는 지난 20일 닭배아의 생식기에서 얻어진 원시생식세포를 체외에서 다시 줄기세포로 역분화, 복제닭을 생산할 수 있는 ‘역분화 줄기세포 배양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닭 줄기세포의 대량추출을 통해 사람에게 필요한 유전자를 넣어둔 복제닭을 생산, 이 닭에서 얻어진 계란으로 고가의 치료용 단백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됐다.
조류의 계란을 구성하는 단백질은 3~4개에 불과, 많은 종류의 단백질이 섞여있는 포유류 젖 보다 인간에게 유용한 단백질 정제가 용이해 그동안 세계 각국에서 복제닭 연구가 활발히 이뤄져 왔다.
한재용 교수팀은 닭의 수정란 배아에서 확보한 미량의 원시 생식선 세포에 몇종의 생리 활성 물질을 처리한 뒤 수개월간의 배양으로 역분화에 성공했으며 여기서 얻어진 다량의 줄기세포가 다양한 세포와 조직으로 분화될수 있음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5~6일 된 닭의 수정란 배아에서 확보한 극소수의 원시 생식세포를 역분화시켜 대량의 줄기세포를 얻음으로써 복제닭 생산 효율을 제고, 줄기세포를 조금밖에 얻을수 없는 조류의 발생학적 한계도 극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실제로 조류복제의 경우 포유류 복제에 이용되는 핵치환 방식이 어려워 복제하고자 하는 조류의 줄기세포를 배아에 이식하는 방법이 동원되고 있는 데 여기에는 많은 줄기세포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업계관계자들은 “황우석교수에 이은 한재용 교수연구팀의 이번 닭줄기세포 배양기술 개발은 국내 축산연구능력의 높은 수준을 전세계에 다시 한번 입증한 쾌거”라며 “그만큼 축산업의 가치와 경제적 잠재력을 반증하는 결과이기도 하다”고 평가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