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9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동물약품·수의

<기획특집> 고병원성 PRRS 확산…고리 끊을 해법은 - 프롤로그

자칫 대재앙 부르는 ‘고병원성 PRRS’…민·관 총력 대응해야

[축산신문 김영길 기자]

모돈 유산·자돈 폐사 유발 등 피해 막심 불구 전국 양돈장 기승

바이러스 복잡하고 변이 많아 농장마다 맞춤형 백신 선택 필요

 

PRRS 피해는 상상 이상이다.

‘골칫거리’라는 표현으로는 한참 모 자란다. ‘재앙’에 더 가깝다. 구제역보다 무섭다는 말이 오히려 현실적이다. 현 시점 양돈장 최대 적이라고 해도 과언 이 아니다.

더욱이 최근에는 더 센 PRRS가 국 내 양돈장을 덮치고 있다. 고병원성 PRRS다. ‘고병원성’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 듯, 이 질병은 일반 PRRS보다 병원성이 훨씬 강하다.

모돈에서는 유산, 일부 폐사 등을, 자 돈에서는 폐사, 호흡기 질환 등을 일으 키며 양돈장 생산성을 쑥쑥 빨아먹는다. 돼지 출하가 줄었다고 하면, 그 이유 맨앞에 PRRS가 놓일 정도다.

게다가 급속 확산세다. 불과 1~2년 전만해도 경기, 충청, 강원 권에 국한됐지만, 이제는 전국 양돈장이 고병원성 PRRS 사정권에 들어갔다.

양돈장은 고병원성 PRRS 방역에 비 상이 걸렸다. 총력 방역태세다. 다행히 우수 백신이 양돈장 곁을 지 키고 있다. 하지만 백신만으로는 고병원성 PRRS를 막아낼 수 없다.

PRRS 바이러 스가 워낙 복잡하고, 변이가 심한 까닭 이다. 결국 사양관리·차단방역·모니터링· 백신접종 등 통합관리가 필요할 수 밖 에 없다.

모니터링 체계 구축, 이동제한 부 담 해소 등 방역당국 차원 PRRS 방역 대책 개선도 요구된다.

PRRS는 청정 양돈장을 찾아내기도 버거울 만큼, 전국 양돈장에 이미 상재 화돼 있다. 전체 PRRS 발생 중 15% 가량이 고병 원성 PRRS다. 더 이상 PRRS 피해를 계 속 품고 살면 안된다.

이번 기획특집이 고병원성 PRRS 피 해를 최소화하는 데 기여했으면 하는 바람 크다.

 

축산신문, CHUKSANNEWS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