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이 지난 24일 세종시 농촌진흥청 국제농업기술협력센터(ITCC)에서 국내 사료산업 발전과 저메탄 사료 활성화를 위한 ‘2025년 사료 전문가 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번 협의회에는 배합사료 및 사료첨가제 관련 업체 연구개발(R&D) 담당자와 연구자 등 50여 명이 참석해 국내 사료산업 정책과 산업 동향을 공유하고, 국립축산과학원의 저메탄 사료 개발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발표 세션에서는 농림축산식품부 홍승탁 사무관이 ‘국내 사료산업 정책 현황’을, 제일사료 이주환 박사가 ‘국내 사료산업 현황 및 주요 연구 내용’을 각각 소개했다. 이어 국립축산과학원 강환구 연구관이 ‘저메탄 사료 소재 개발 현황 및 향후 계획’을 발표했다.
종합 토론에서는 발표자와 참석자들이 국내 사료산업 발전을 위한 현장 수요 정책과 연구 방향을 모색했으며, 국립축산과학원이 추진 중인 메탄저감제 개발 현황을 공유하며 산업화 조기 실현 방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
우리나라 배합사료 생산량은 2020년 2천132만 톤에서 2024년 2천407만 톤으로 늘었지만, 같은 기간 평균 가격은 국제 곡물가 변동과 기후변화 영향으로 kg당 479원에서 622원으로 상승해 축산농가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농진청은 2030년까지 한·육우 사료의 30%를 저메탄 사료로 전환한다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김진형 축산자원개발부장은 “이번 협의회는 정책, 연구, 산업이 긴밀히 소통하는 계기가 됐다”며 “정기적인 협의회를 통해 현안을 해결하고 국내 사료산업이 한 단계 더 발전할 수 있도록 힘을 모으겠다”고 말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