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권재만 기자]
기후 위기가 양봉산업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경상남도는 지난 10월 29일 경상남도농업기술원 미래농업교육관 대강당에서 기후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기후위기 대응 양봉산업 발전 토론회'<사진>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기후변화에 따른 꿀벌 생태 위협, 꿀샘식물(밀원수) 감소, 질병 발생 증가 등 복합적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기술적 해법을 찾기 위해 추진됐으며, 지속 가능한 경남 양봉산업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뜻깊은 자리였다.
이날 행사에는 박동서 경남도 축산과장, 전기풍 도의원을 비롯해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림축산검역본부, 국립산림과학원, 경성대학교 등 관계기관의 전문가, 한국양봉협회 경남도지회 및 도내 양봉농가 등 총 12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토론회는 2부로 나뉘어 진행됐으며, 1부 주제 발표는 전기풍 도의원(국민의힘·거제2)의 ‘경남 양봉산업 현황 및 발전방향 제언'을 시작으로, 한상미 국립농업과학원 양봉과장은 '기후변화 대응 양봉산업 육성 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이어 김재명 농림축산검역본부 과장은 '꿀벌 질병 발생 및 현장 대응 전략', 정제원 경성대학교 교수는 ‘기후 위기속 꿀벌의 생존을 위한 과학적 접근과 산업적 대응방안', 나성준 국립산림과학원 박사는 '기후변화 대응 경남권역 밀원단지 조성 방안'에 대해 발표가 이어졌다.
또한, 2부 종합토론에서는 전기풍 도의원을 좌장으로, 양봉 업계를 대표해 정현조 양봉협회 경남도지회장이 토론자로 참여해 각계 전문가와 함께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며 정책의 현실성, 기술의 현장 적용성, 농가 수요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한편, 경남도는 이번 토론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바탕으로 양봉산업 구조개선 사업 개선안 마련과 기후회복력 강화형 양봉지원 정책 기획, 경남권역 꿀샘식물(밀원수)단지 조성 및 확대, 질병 예방 기술 연계 등 후속 사업을 발굴해 도정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박동서 경남도 축산과장은 “이번 토론회는 현장과 행정, 전문가가 함께 모여 기후 위기라는 시대적 과제에 대해 공감하고 협력 방안을 찾은 계기였다”면서“앞으로도 양봉농가의 어려움을 덜고 산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인 정책을 지속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