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4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수입 생우 사태를 보고

최근 축산업계는 생우 수입 문제가 단연 톱이슈로 제기되고 있다. 한우 사육농민들이 생존권 사수 차원에서 수입업자와 맞서 시위를 하고 있는 모습은 참으로 안타까운 현실이 아닐 수 없다. 한우 사육농민들의 절규는 우리 농촌경제의 버팀목인 한우를 살리자는 참뜻이 표출된 것으로 이해된다.
물론 올해부터 생우 수입이 개방됐기 때문에 생우수입 자체는 합법적이다. 따라서 제도적으로는 분명 하자가 없는 것이다. 하지만 특정인이 적정량의 소를 수입한 것이 아니라 사육 농민을 볼모로 삼아 기업적으로 수입하려 했다는 점에 문제가 많다는 지적이다. 한우야 죽든말든 돈만 벌면 된다는 사고 방식에 대해 한우 사육농민들이 분통을 터뜨리고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이 아닌가 생각된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그저 소문에 불과한 것으로 믿고 싶지만 축산계 지도자들 가운데 일부가 생우 수입을 추진하다 중단했고, 또 어떤 사람은 수입 생우를 받으려 했다는 소문이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한우와 농촌이 지배계층의 돈벌이 수단으로 농락당해서는 절대 안된다고 본다. 특히 지도자들은 어떻게 하면 한우를 살리며 생우 수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가에 대해 지혜를 모으고 대책을 강구해야할 시점인데 생우 수입을 부추기는 사례가 있다면 이는 지탄받아 마땅하다는 생각이다.
정부도 최근 한우를 살리기 위해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겠다고 발표했다. 우리 한우의 경쟁력을 일본의 화우수준으로 끌어 올린다는 목표아래 과감한 한우대책을 마련해 놓고 강한 정책의지를 보이고 있다.
농민들 역시 한우를 살리기 위해 그 어느때보다도 새로운 각오를 펴보이고 있다. 한우사육 농민 가운데는 정부가 조금만 더 밀어주면 한우의 장점을 보완해 승산이 있다는 의욕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자신감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몇가지 보완되거나 전제 되어야 할 것이 있다. 한우의 차별화된 사육이 그것이고 소비자가 한우의 기호성을 선택할 수 있는 유통시스템의 전문화가 이뤄져야 한다. 생산과 판매 기능의 전문화 없이 한우를 살리겠다는 구호나 정책은 백약이 무효임은 두말 할 필요가 없다.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은 한육우가 1백40만여 마리로 급격히 줄어든 것도 따지고 보면 고무풍선과 같은 한우대책 이면에 한우 포기(?) 분위기 조장이 그 원인이라는 견해가 많다. 한우 숫자를 줄이기 위한 가임한우 도축 장려나 2∼3산 암소고기에 대한 소비자 선호과열 현상은 곧바로 증식을 억제하는 엄청난 결과를 가져왔다고 본다.
한쪽에서 생우를 수입하고 한쪽에서는 한우 살리기 대책이 또다시 급조 됐다. 거듭 강조하지만 진정 한우를 살리려면 생산 유통, 그리고 소비에 이르기까지 시스템의 전문화를 기본으로 장단기 대책을 반드시 성취해야 할 줄로 안다.
이와 함께 생우 수입 사태에 대해 우왕좌왕할 것이 아니라, 우리 나라 쇠고기 수요량을 정확하게 판단해서 한우와 수입육을 어떻게 조화롭게 대처할 것인가에 대해 구체적이고도 강한 정책 의지가 있어야 할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