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생산된 계란은 반드시 GP센터를 거쳐 유통될수 있는 체계가 구축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양계협회는 지난달 26일 협회 회의실에서 ‘계란유통구조개선 TF 2차회의’<사진>를 갖고 구체적인 대책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유통구조개선을 위한 GP센터의 역할론에 공감대가 형성됐다. 일부 참석자들은 계란의 경우 대표성 있는 기준 가격이 없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인 것으로 지적하면서 “GP센터를 통해 계란이 유통될 때 합리적인 가격 책정이 가능, 농가와 유통업계의 갈등도 최소화 할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농장 질병 방역차원에서 GP센터 활용이 바람직하다는 시각도 표출됐다. 대부분 유통 상인들이 농장을 드나들며 계란을 수집, 각종 질병유입 가능성이 높은 실정인 만큼 GP센터로 계란을 옮기고 이곳에서 계란을 출하토록 하되 상인들의 농장출입은 가급적 자제토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들은 다만 GP센터만 단독으로 운영할 경우 적자가 불가피한 것이 현실인 점을 감안, 난가공 공장과 연계하는 방안이 적극 검토돼야 할 것이라는데 입장을 같이했다. 이를통해 잉여물량에 대해서는 분말 등 가공품 형태로 유통시키고, 파란이나 오란 등은 사료 또는 제과용 원료로 활용토록 할 경우 계란수급조절 효과도 기대할수 있다는 분석이다. 농림수산식품부 축산경영과 변동주 사무관은 이에대해 “유통구조개선 대책을 강구하기에 앞서 계란 시장규모와 생산 및 유통현황, 그간 마케팅 흐름 등에 대한 분석이 우선돼야 할 것”이라면서 “특히 GP센터 설립 뿐만 아니라 운영방안 등도 보다 전문적인 시각에서 접근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양계협는 오는 6월 중순 개최예정인 ‘전국 채란인대회’에서 유통구조개선에 대한 농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유통 상인들과 협의 과정 등을 거쳐 하루라도 빨리 실질적인 대책이 제시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