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종합

대형팩커 육성정책 “맞지 않는 옷”

7개 축산단체 공동성명…“국내실정 무시 기업 몸집만 키우기식” 비난

[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개방 대응 농가 생존대책 우선…전방위 투쟁도 불사”

축산단체들이 정부의 대형팩커 육성방침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전국한우협회와 대한양돈협회, 한국낙농육우협회, 대한양계협회, 한국오리협회. 한국양록협회, 한국양봉협회 등 7개 생산자단체는 지난 20일 공동성명을 통해 축산농가는 안중에 없고 국내 실정에도 맞지 않는다며 대형팩커 육성정책을 정면으로 비난했다.
그러면서 대형팩커 육성 이전에 한-미, 한-EU FTA 타결로 위협받고 있는 20만 축산농가의 생존대책부터 우선 수립,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는 성명에서 대기업이 엄청난 수익으로 돈을 쓸 데가 없는 반면 젊은이들은 취업 고통과 기간직 근무로 희망을 잃어가고 있는 현실이 정부의 어처구니 없는 정책을 통해 축산업에도 불어닥치고 있다고 개탄했다.
정부의 팩커 육성 대상으로 예상되는 기업도 국내 축산업을 독식하려는 야욕을 드러내고 있을 뿐 만 아니라 오로지 몸집 불리기에 혈안이 돼 있는 실정이라고 주장했다.
결국 2~3개 대형 팩커만 육성하면 된다는 정부 방침은 20만 축산농가가 소작농으로 전락되거나 폐업으로 치달아 실직자로 전락, 사회적 문제를 야기해도 무관하다는 것으로 받아들일수 있다는 것이다.
더구나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거대 축산기업이 세계의 축산 강대국과 경쟁에서 뒤쳐질 경우 기업 살리기에만 집중, 국민들의 식탁과 서민경제를 위협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정부가 지향하는 글로벌 축산식품기업은 우리에게 ‘맞지 않는 옷’ 임을 주장했다.
정부의 벤치마킹 대상인 외국 대형 팩커의 경우 그 나라의 사료곡물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축산물을 생산, 수출위주 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것인 반면 우리나라는 주요축산물의 국내 생산량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된다는 분석이다.
정부가 시장 개방은 코앞으로 다가왔는데 외국기업의 거대 자본력에 맞서는 방법은 아직도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단체는 따라서 생존권 확보 차원에서 전방위적 투쟁을 전개해 나갈 것임을 강조하면서 최악의 경우 유관단체와 연계, ‘제2의 촛불집회’ 도 불사할 것임을 경고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