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4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2001년 축산업계를 돌아보며

또 한해가 간다. 희망찬 새해에 부풀어 있었던 것이 엊그제 같은데 어느새 일년이 다 지나가고 있다.
우리는 올 연초 신년특집을 통해 "새 희망의 싹을 틔우자"를 화두를 던진적이 있다. 돌이켜 보면 우리 축산업계는 비록 지금은 어렵고 힘들지만 미래를 위해 새 희망의 씨앗을 뿌리고 그 싹을 틔우자며 나름대로 열심히 노력해왔다. 그 결과 우리는 정말 희망의 싹을 얻은 것도 있고, 또 그렇지 못한 것도 있다.
2001년 우리는 축산물시장 완전 개방이라는 무거운 짐을 짊어지고 출발했다. 이미 예상했던 일이었긴 하지만 우리 축산업계가 그 무거운 짐을 지는 부담은 적지 않이 컸다. 그 첫 부담은 생우수입이라는 실체로 나타났다.
축산물 시장이 완전 개방됐는데다 우리 한우고기가 절대 부족한 상황에서 생우 수입 업체들은 생우 수입의 당위성을 논리적으로 전개했고, 그러한 논리앞에 한우인들은 "자구(自救)"의 차원에서 몸으로 저지에 나선 결과 일단은 한우인들이 생우 수입을 저지하는데 성공했다.
한우인들은 "생우 수입 저지"라는 그 자체의 성공도 성공이었지만, 모처럼 한우인들이 하나의 현안을 놓고 단합하고 힘을 모음으로써 앞으로도 한우인들이 한마음이 되어 힘을 모은다면 더 큰 어려움도 이겨나갈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감을 찾음으로써 희망의 싹을 틔웠다. 그러나 한우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것만이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한우인들의 경쟁력 강화 노력이 긴요함이 강조되기도 했다.
축산물 시장 완전 개방시대를 맞은 우리 축산은 이렇듯 한우 산업 뿐만 아니라 낙농, 양돈, 양계 산업은 물론 특수 가축분야까지도 경쟁력의 시험대에서 각기 나름대로 혹독한 시련을 견디며 내일의 희망의 씨를 뿌렸다.
낙농산업은 홍수같이 밀려드는 유제품과의 경쟁 속에서 원유가 산정체계 개선이라는 과제를 놓고 결코 짧지 않은 기간 논란을 거듭하며 낙농산업 발전 체계 확립을 위해 고민해온 한해였다. 양돈산업은 지난해 구제역 발생이후 내수시장 소비 안정을 위한 돈육소비구조 개선 노력과 수출 경쟁력 확보를 위한 고급육 생산이라는 숙제와 함께 하반기에 접어들면서 사육두수가 사상 최대를 기록한데 따른 불황의 늪에서 돈육 소비촉진을 통한 다양한 노력으로 다행이 최악의 상황은 면할 수 있었다. 그중에서도 본지와 양돈협회가 공동 주최한 "불우이웃에 돼지고기 보내기 캠페인"은 양돈인들은 물론 많은 축산인들이 함께함으로써 우리 축산인의 하나된 모습을 보여주었고, 이는 우리 축산업계의 잠재적 발전 가능성을 확인시켜주는 계기가 됐다.
양계산업은 채란업과 육계업 공히 매년 그래왔던 것처럼 질병과의 전쟁에서 울고 웃었다. 질병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엔 울었으나, 그에 따른 양계산물의 좋은 가격으로 웃었던 것이다. 특히 채란업계는 계란등급제 실시로 새로운 산업 발전의 시험대에 올라선 한해였다. 육계업계는 계열화업체의 기반구축을 위한 치열한 경쟁의 소용돌이가 한바탕 몰아친 가운데 대일 닭고기 수출 본격화로 업계에 희망을 준 한해였다.
그러나 올 한해를 되돌아보면서 가장 큰 희망의 싹을 틔운 것은 역시 구제역 청정국 복귀라는 쾌거라고 할 수 있다. 지난해 구제역 발생으로 크게 위축됐던 축산업계가 불과 1년여만에 역경을 딛고, 그야말로 축산인들은 물론 산·학·관·연이 하나가 되어 매진한 결과였기에 올 한해를 보내는 마음을 훨씬 가볍게 하고 있는 것이다. 돼지콜레라 청정화를 위한 백신접종 중단 또한 빼놓을 수 없는 뉴스로 기록되고 있다.
이밖에도 비록 국내에서 발생되지는 않았지만, 유럽과 이웃 일본에서 발생한 광우병 파동은 국내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쳐, 한우고기 수요기반을 잠식할 것으로 우려됐던 수입쇠고기 소비 위축을 가져왔고, 결국 그 영향은 돼지고기와 닭고기, 오리고기 소비 증가로 이어지는 결과를 낳았다. 우리가 지구촌 시대에서 축산을 하고 있음을 다시한번 확인한 것이다.
이렇게 또 한해가 간다. 우리는 또 한해를 되돌아 보면서 우리가 무얼 잘하고, 무얼 못했는지를 반성하고 있다. 가만히 반추해보면 단기적인 안목의 정책과 경영이 얼마나 덧없는 것인가를 새삼 실감하게 된다. 아울러 많은 아쉬움을 갖고 한해를 보내고 있다.
내년에는 또 한해를 보내면서 갖게 되는 아쉼과 후회가 없도록 장기적인 안목에서 정책을 세우고, 경영계획을 세울 수 있기를 기대한다. 2001년이여, 안녕!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