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4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경제의 글로벌화와 축산

축산업의 장래를 걱정해온 축산인들은 우리 축산이 존재하려면 축산인 스스로가 뼈를 깍는 자기 혁신의 노력과 함께 경영과 생산자 조직 그리고 지도 기능의 체계화가 급선무라는 지적이다.
지구촌에서 존재하려면 경영의 규모화와 전문화는 필연적인 것이며, 축산업은 한계 상황이 있긴 하지만 상당 부문이 규모의 경쟁력에 접근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하지만 전문화된 산업과 이들을 이끌 지도 기능의 시스템이 제대로 정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발전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많다. 왜냐하면 생산 기능이 단순한 경종 농업과 달리 복잡하기 때문에 고도의 체계적인 전문성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선진축산의 경우 식량 생산 영역에 대해 포괄적인 의미에서 농업으로 통칭하지만 품목별로 산업이 조화있게 발전할 수 있도록 자본과 기술 그리고 판매 기능을 전문화시켜 급변하는 산업 사회에 대처하고 있음은 익히 잘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우리의 경우도 선진국과 같이 축산업의 허가등록제 도입이 급부상되고 있음은 매우 시의에 적절한 공감기류가 아닌가 생각된다. 왜냐하면 고도의 산업 사회에서 존재하려면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자본과 기술과 그리고 정보와 지식을 체계적으로 갖췄거나 갖출수 있는 사람에게 경영권을 부여함으로써 산업 발전을 한차원 높여 국제경쟁력에 대처하자는 것이다.
자질을 제대로 갖춘 정예화된 축산경영인들을 발굴, 축산업을 경영케함으로써 수급을 원활케하는 동시 질병 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위생적인고 안전한 축산물을 생산케해야 한다는 것은 최근 양돈산업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힌 돼지콜레라와 구제역 확산에서 이같은 대안을 촉구하는 계기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여건이 비슷한 계층이 모여야 위기 대처능력이 원활해 진다는 것은 상식이다. 우리는 이같은 상식을 익히 알고 있으면서도 이런저런 이류를 들고 이 눈치 저눈치 살피다가 황금같은 시간들을 허송세월한 연후에 이제서야 원칙론이 제기되고 있음은 참으로 한심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최근 꼬이고 꼬여 있는 낙농 문제도 그렇다. 낙농업의 장래를 위해 일부의 반대를 무릅쓰고 만들어 놓은 낙농진흥회 기능과 역할 문제가 도마위에 오르고 있는 것도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개인의 이해관계가 연계된 집단의 이기주의가 아닌 낙농산업의 당면 현안을 풀고 또 장재를 놓고 대책을 마련하는 일에 사사로운 이해관계에 얽혀 일어나는 반목 현상은 용납될 수 없다.
과연 낙농업의 장래를 위해 현안과제들을 돌출시켜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짜낸다면 타협점이 없을리 없다.
사실은 이시대의 낙농 지도자들도 낙농업이 있기 때문에 자신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함도 강조된다. 이와 함께 감독부처의 어정쩡한 처신도 명쾌하게 이끌어줘야 한다. 단체간 줄다리기를 하는 사이 국내 유제품 시장은 국산 원유가 아닌 수입 유제품이 더많은 시장을 잠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우유를 즐겨 마시던 소비 계층들이 우유를 마시면 살이찌기 때문에 기피하는 경향으로 치달아 대부분의 유업체들이 우유를 덜 쓰거나 국산원유를 아예 쓰지 않는 기능성 음료 위주로 발빠르게 사업 패턴을 바꾸고 있음을 중시해야 할 것이다.
아무튼 축산업은 축종에 관계없이 정예화해야 한다. 무턱대고 생산만 하면 저절로 판로가 열리고 또 누가 해주겠지 하는 "아나로그" 시대의 사고 방식을 가지고는 경제의 글로벌시대에 살아남지 못한다.
따라서 정부도 전문 업종에 대한 체계적인 시스템을 방치한채 그때 그때 사안에 따라 땜질로 일관하거나 허둥되는 정책의 난맥상에서 벗어날 수 있는 대안을 하루빨리 찾아야 한다.
축종별 기능별 관련 단체의 역할과 업무 장악 능력을 냉정히 평가해서 산업의 전문화 시대를 조화있게 대처할 수 있는 정책 파트너를 체계화시켜야 할 것이다.
이념이 다르고 미래에 대한 확신을 갖지 않고 있는 경영인과 생산자 조직은 이제 축산에서 손을 떼게 하고 스스로 책임지고 어려움에 대처하고 극복할 수 있는 신념있는 생산자와 그 동반자 집단을 자연스럽게 육성하는 일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본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