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황인성, 전우중 기자] 충남도의회가 지난 9일 꿀벌집단 폐사 현상으로 인해 위기에 처한 충남양봉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위기의 충남양봉산업 지속가능한 상생의 길을 찾다’를 주제로 의정토론회<사진>를 개최했다. 공주시 농업기술센터 농업전시관에서 열린 이번 의정토론회는 충남도의회 의원과 충남도청 관계자 및 지역 양봉농가 200여 명이 대거 참여한 가운데 박미옥 의원(비례 국민의힘)이 좌장을 맡았다. 이만영 한국양봉학회 고문이 ‘충남양봉산업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발표했으며, 이어 조수일 충남도 동물방역위생과장, 고대열 산림자원과장, 남명현 산업곤충연구소장, 강재선 한국양봉협회 충남도지회장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토론자로 나섰다. 한편, 올해 충남 지역 양봉농가 피해 실태를 보면, 전체 2천442호 23만9천968 벌무리(봉군) 가운데 30%에 해당하는 1천81호 농가에서 7만2천494의 피해가 발생했다. 특히 공주시에는 230호 농가 2만1천400(피해율 60%) 벌무리에 피해를 입어 가장 큰 타격을 받았다. 이날 주제발표자로 나선 이만영 고문은 “양봉은 산림생태계와 농작물의 화분 매개자로서 꿀벌 육종 및 여왕벌 보급 등 기술 개
[축산신문 황인성, 전우중 기자] 기존 약제 쉽게 죽지 않고 크기 너무 작아 전문가, 응애류가 아닌 ‘가루진드기’로 추정 기존에 보지 못했던 꿀벌응애가 최근 양봉농가에서 발견되어 양봉업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충남 공주에서 올해로 54년째 양봉업에 종사하고 있는 이병일 농가는 “기존에 보지 못했던 이상한 응애류가 나왔다”며 “현미경으로 관찰한 영상자료를 한국양봉협회와 농림축산검역본부에 이를 제출하고 검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4년 전부터 평소와는 달리 꿀벌이 잘되지 않는다고 느낀 이 씨는 “현미경으로 시험을 하던 중 올 7월부터 이상한 응애류를 발견했다. 발견된 응애류는 기존 약제에도 쉽게 죽지 않고 크기가 너무 작아 눈으로 보이지 않아 죽었는지 살았는지를 확인할 수 없고 현미경으로만 관찰할 수 있었다”며“또한 응애류는 꿀벌 몸에서 잘 떨어지지 않고 더듬이를 비롯해 어미와 새끼가 꿀벌 한 몸에서 기생하는데 10월부터는 색깔이 있는 응애가 나오기 시작해 월동을 준비하는 것 같다”고 추측했다. 이번 응애가 기존부터 있었는지 새로 생긴 것인지 알 수 없다는 이병일 씨는 “그동안의 약제로는 효과가 없다. 개미산으로 3번 시험해 보았으나 죽지 않았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