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호 교수(서울대학교)최근 국내 메르스 사태를 비춰볼 때, 몇 가지 중요한 문제점을 도출해 낼 수있다. 정부에 대한 신뢰 부재, 정부의 정보 미공개에 대한 감정폭발, 사회 신뢰미흡, 저하된 사회적 포용력, 그리고 ‘각자도생’ 방식의 위기 대응 행동이다. 이러한 사회적 위험성(Risk)은 위해(Hazard…
윤성식 교수(연세대)텔레비전을 켜면 시쳇말로 ‘먹방’의 홍수. 국내 방송의 무분별한 음식방송이 도를 넘어 지겨울 정도다. 방송에서 들은 귀동냥 탓일까, 주변에는 콜레스테롤을 모르는 사람이 별로 없다. 특히 콜레스테롤이 많이 함유된 식품들은 고혈압, 동맥경화증, 당뇨병과 같은 생활습관성 질병의 원…
이병오 교수(강원대 농업자원경제학과)얼마 전 한국축산경영학회에서 일본 동경대학 스즈키 노부히로 교수가, TPP(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와 일본·호주 EPA(FTA의 일종)가 일본 축산업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로 강의를 하였다. 금년 7월말 TPP 협상은 몇 가지 쟁점으로 결렬되었으나, 그동안 많…
박용호 교수(서울대학교)이번 9월 7일부터 9일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 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 개최되는 글로벌 보건안보 구상(GHSA) 은 세계보건기구 (WHO)의 국제보건규약 (Internationally agreed standards for core capacity)과 같은 국제적으로 합의된 핵심역량을 각 국가…
김정주 명예교수(건국대)산란계 케이지 사육이 국내에 도입되기 이전에는 산란계도 평사에 의존했지만 국내에 산란계 케이지가 도입되자 산란농가의 인기는 매우 높았었다. 그러나 산란계 사육규모가 커지고 동물복지 문제가 불거지면서 산란계 케이지 사육을 놓고 국내 소비자단체들 감시의 시선이 곱지 않…
윤성식 교수(연세대 생명과학기술학부)바야흐로 세계 유제품 시장이 격변을 예고하고 있다. 지구촌에서 최대 인구를 보유하고 있는 아시아 신흥 시장의 부상과 더불어 이제는 세계시장을 겨냥하지 않으면 기업이나 국가의 장래를 기약하기 어려운 세상으로 변하고 있다. 듣기만 해도 골치가 아픈 GATT, W…
이병오 교수(강원대 농업자원경제학과)한우산업은 우리 농업의 주 성장동력인 축산부문에서 2번째의 생산액을 올릴 정도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런 한우산업이 지금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앞으로 10여년 후 미국, 호주, 캐나다 등 주요 FTA 체결국들로부터의 쇠고기수입이 무관세로 전…
류경선 교수(전북대)전 세계적으로 가금육 생산량에서 닭고기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88%로 FAO는 2014년에 가금육 전체 생산량 약 1억 870만톤중 닭고기는 9천550만~9천600만톤으로 예측하였다. 2000년부터 2012년에 도계수수는 약 400억에서 600억수가 증가되었으며 도계육 수당 무게도 1.44kg…
박용호 교수(서울대 수의과대학)인수공통전염병이란 동물과 인간 사이에 상호 전파되는 병원체에 의해서 발생하는 질병으로 사람들이 새로운 환경을 개발할 때마다 새로운 인수공통전염병이 계속 출현해 왔다.이러한 신종 전염병의 출현과 유행은 역사적으로 인류에게 매우 큰 영향을 주었으며, 그 위협은…
정구용 교수(상지대)중동호흡기중후군(MERS·메르스)이 대한민국 국민들을 더운 여름철에도 마스크를 쓰고 답답하게 거리를 걷게끔 한지도 벌써 두 달이 되고 있으며, 이제 서서히 그 어려운 상황에서 빠져나오는 듯 싶다. 그동안 안전하던 대한민국은 그동안 불명예스럽게도 세계 제2의 메르스 감염국으…
윤성식 교수(연세대 생명과학기술학부)해외에서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가 국내로 입국한 이후 지난 한 달여 동안 우리는 과거 경험하지 못했던 신종 바이러스가 병원을 중심으로 빠르게 전파되는 바람에 모든 사회활동이 거의 마비되는 진통을 겪었다. 그것도 국내 최고의 병원으…
김정주 명예교수(건국대 국제통상학부)한국은 2015년 6월 현재 칠레를 비롯한 미국, EU 등 49개 나라와의 FTA가 발효 중이고, 중국, 베트남, 뉴질랜드 등 4개 국가와의 FTA가 서명 된 상태이다. 특히 2014년 11월에 전격 타결된 한·중 FTA는 그야말로 전광석화 같은 일이었다. 이로써 한국은 미국, 유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