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 간(2005년~2014년) 도축된 한우 658만두의 등급판정 자료 분석을 통해 도축두수의 변화와 육질등급별 출현율 변화, 평균가격 추이 등 한우산업의 동향을 알아보고자 한다.◆한우 도축두수와 도매시장 상장 두수한우의 도축두수는 FMD로 인해 일시적으로 감소한 2010년을 제외하면 지난 10년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2014년 사육두수 감소로 인해 그 추세가 꺾였다. 2014년도 한우 도축두수는 2013년도보다 4.0%감소한 92만944두로 집계되었으며, 그중 도매시장에 상장된 비율은 51.3%(47만2천624두)로 집계되었다. 한우 도축두수의 증가 추세에 따라 도매시장 상장두수도 매년 증가해왔지만 상장비율이 50%를 넘어선 것은 2014년이 처음이다.이는 사양기술의 발달로 상위 등급 출현율이 높아지자 산지(생체) 판매보다는 경매를 통해 수익성을 높이고자 하는 의도로 보이
권기문 과장축산물품질평가원 연구개발팀최근 한우도체의 도매시장 경락가격을 비교해 보면, 육질등급 간 가격차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4년과 비교할 때 2·3등급의 출현두수 감소와 수요 증가(학교급식, 웰빙식품)로 가격이 상승하였고, 상대적으로 1등급 이상의 가격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됨으로써 가격차가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2·3등급의 생산량 감소는 공급 감소로 이어지고 비슷한 품질의 수입육량이 늘어 국내 쇠고기 시장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앞으로 한우의 품질이 더 좋아질수록 고급육과 수입육의 중간소비시장을 대체 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따라서 쇠고기 자급률이 50% 미만인 상황에서 국내쇠고기와 수입육의 완충시장인 2·3등급 시장을 한우의 2·3등급도 고려한 생산체계로 대체해야 할지, 육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