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영란 기자] 가격 안정화 정책 보조…조기 인하 단행 민간 배합사료업체들도 사료 가격 인하 대열에 합류한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당초 11월부터 인하할 계획이었던 것을 앞당겨 이달부터 kg당 평균 10원가량 내렸거나 내릴 계획이다. 현재 출하되는 사료는 보통 6개월 전 구매해놓은 원료이기에 곡물가 등의 인하 요인이 사료값에 반영되기 위해선 11월 이후가 돼야 하지만 정부가 농가와의 고통 분담과 물가 안정을 위한 가격 인하 조치 요구에 업계에서는 이를 수용, 사료가격을 낮추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11월 되면 추가적인 사료가격 인하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사료업계에 관련 내용을 공유, 독려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관련업계에서는 서바이벌 경쟁시대에 인하 요인이 발생하면 누가 먼저랄 것 없이 인하하는 분위기가 잡힌 지 꽤 오래된 일이라며 정부에서 지나치게 시장에 개입하는 듯한 인상이 매우 짙다는 말을 전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축산신문 김영란 기자] “축산 없으면 농촌 붕괴”…축산 중요성 강조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홍문표 의원(국민의힘 충남 도당위원장, 예산·홍성)이 한국 축산업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해 눈길을 끈다. 홍 의원은 지난 8월 28일 축산정책포럼(회장 석희진, 이하 축정포럼)에서 한국 축산업이 앞으로 더욱 더 발전하기 위해서는 사료문제, 질병문제, 유통문제, 분뇨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현재와 같은 상태로 지속된다면 우리 축산업의 앞날은 그다지 밝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홍 의원은 이어 축산이 농촌을 지탱하고 이끄는 중추적인 산업임에도 이와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어 매우 안타깝다면서 축산이 없으면 농촌 경제가 무너질 정도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점을 직시, 문제 해결을 통해 앞으로 더 성장 발전해 나가도록 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홍 의원은 사료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급률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만큼 쿠바를 모델로 삼으면서 간척지라든가 유휴지 등을 활용한 사료 정책의 근본 틀을 바꿔야 우리 축산업이 희망이 있다고 주장했다. 질병문제와 관련해서는 가축 질병이 발생했을 때의 살처분 비용을 국민세금으로 충당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