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인환 명예교수(건국대학교) 축산에서 동물복지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가 되었다. 아울러 가축공정 사육에 대한 고민을 하며 해결해야 할 사명이 축산인에게 주어졌다. 우선 관련 용어의 개념을 정의해 보자. 동물보호, 동물복지, 그리고 동물공정(justice)이란 용어는 흔히 유사어로 사용되고 있다. 물론 중복되는 점도 있으나 같은 의미는 아니다. 동물보호는 법을 제정한다든가 대책을 강구하는 인간의 활동과 노력에 관여하는 반면에, 동물복지와 동물공정은 우선적으로 가축의 입장에서 보는 것이다. 동물복지는 영어 ‘animal welfare’로 이해할 수 있다. 동물의 5대 자유 외에도 세 가지의 요인 즉 건강상태, 자연스런 행동, 그리고 감정(예; 아픔, 고통을 주지 않는 것, 긍정적 감정을 갖게 하는 것)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이 세 가지가 완전하게 중첩이 된다면 최상의 동물복지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가축이 건강한 상태라고 해도 자연스런 행동을 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마취 없이 절각을 하여 고통을 주는 것 등이다. 동물공정은, 좀 생소한 감이 있지만, 경영과 가축 사육에 관여한다. 동물복지의 최상위수준에 도달하게 하는 사육방법을 동물공정이라
오 인 환 명예교수(건국대학교) 지난 여름 복 날에 전통이 있는 보신탕집을 찾았는데 메뉴가 바뀌었다. 수십 년 해오던 보신탕은 안하고 대신 영양탕(염소탕)이 나왔다. 개인사정을 제외하면 동물보호법의 영향과 국내 반려견 양육가구가 591만이나 되는 상황도 작용했을 것 같다. 스페인의 유명한 투우경기도 북서부 지역 카스티야레온 주에서는 최근 금지하는 판결이 나왔다. 동물보호자들은 500년 이상 이어진 고통을 종식시켰다고 환호했다. 동물보호, 동물복지는 피해갈 수 없는 시대흐름이 되었다. 이 분야에서는 유럽이 앞서 가고 있다. 동물복지는 동물학대를 방지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해 동물보호·복지로 확대되면서 동물복지에 관한 제도와 법률들이 강화되고 있다. 동물복지의 십계명이라고도 할 수 있는 5대 자유는 다음과 같다. 1. 갈증, 배고픔으로부터의 자유 2. 불편함으로부터의 자유 3. 고통, 상처, 질병으로부터의 자유 4. 정상적인 행동을 표현할 자유 5. 두려움과 스트레스로부터의 자유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공장식 밀집사육방법은 자연과 동물을 왜곡된 시각으로 본다는 비난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유럽은 동물복지 차원에서 2012년부터 산란계 케이지와 모돈의 스톨 사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