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냄새 저감 대책은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축산업이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냄새와의 싸움이다. 농림축산식품부도 축산 현장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해 ‘축산냄새개선사업’을 펼치고 있다. 농식품부의 ‘축산냄새개선사업’이 현재 어떻게 진행되고 있고 내년도 계획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축산냄새개선사업은 가축분뇨처리 및 냄새 저감 시설‧장비 등 지원으로 가축분뇨의 적정처리와 냄새를 저감하고 환경 오염 및 국민불편을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시‧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이 시행주체를 맡는다. 국내 토양의 양분이 과잉되고 살포지가 감소추세에 있는 만큼 퇴비‧액비 처리에 한계가 생기고 축산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 등을 고려해 ▲분뇨처리 개선 ▲냄새 저감 ▲경축순환 활성화로 분야를 나눠 정부가 지원에 나서는 것이다. 현장에서의 호응도 좋은 편이다. 축산냄새개선사업에 지원해 선정된 지자체는 2021년 30개, 2022년 33개였으며 2023년에도 30개의 지자체가 해당 사업을 진행 중이다. 사업 대상자로 선정되면 우선 지역협의체를 구성한다. 농가‧가축분뇨시설 등 주민불편 주체와 민원인 등 수혜자가 소통‧협업해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농림축산식품부가 추진하고 있는 ‘축산냄새개선사업’은 지역 여건에 맞는 냄새 관리가 이뤄지고 있어 많은 성과가 보여지고 있다. 지난해 여름 농식품부는 냄새 집중관리지역 33개소에 대한 추진 상황을 점검했는데 다양한 성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분뇨처리 효율화…탄소중립 실현 전남 고흥군의 경우 관광지 인근 양돈농가 및 자원화시설의 냄새가 큰 문제였다. 가축분뇨와 액비의 장기 적체를 냄새의 주요 원인으로 파악하고 인근 가축분뇨 처리시설의 운영 진단 및 컨설팅을 통해 가축분뇨 반입량을 점진적으로 늘려나가 축산농가의 가축분뇨 적체시간을 최소화해 냄새를 저감해 나가고 있다. 특히 여름철 비가 많이 오면서 액비 살포 여건이 악화되었던 상황에서 액비화 이외의 정화처리 비중을 2020년 0%에서 15%까지 끌어올림으로써 여름철 적체되어 있는 분뇨처리량을 획기적으로 늘려나가고 있다. 주민 갈등 해소…민원 3천건 감소 경남 김해시는 도시화로 인한 냄새 문제로 ‘냄새관리지역’으로 지정된 바 있는 곳이다. 이번 사업을 통한 냄새저감시설을 지원하고 축산농가의 의식개선을 위한 교육 및 상담 지원센터를 운영하는 한편 법령 위반 농가에 대한 과태료 부과 등의 조치도
궁극적 방역목표, 청정화 보단 발생 최소화에 무게 중점 방역지구 외 우려지역 설정, 예찰·점검 강화 멧돼지 개체수 증가 시기…남부지역 경각심 높여야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지난 2019년 경기도 파주의 양돈농장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한 이후 현재까지 36건이 발생했으며 야생멧돼지에서의 발생은 경기, 강원을 넘어 충북, 경북까지 확산되어 농장 발생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정부도 농장에 대한 점검을 비롯해 소독‧예찰을 강화하고 야생멧돼지 관리에 만전을 기하는 등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전국 확산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지는 최일선에서 방역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전문가들과 함께 광역 울타리, 8대 방역시설 설치 등의 정부 방역대책을 평가해보고 현장의 목소리를 통해 개선점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 일 시: 2023년 5월 11일(목) 14:00~17:00 ■ 장 소: 축산신문 회의실 ■ 주 최: 축산신문 ■ 사 회: 김영란 편집국장(축산신문) ■ 정리‧사진: 김수형‧서동휘 기자 ■ 토 론: 김지호 사무관(농림축산식품부 구제역방역과) 오연수 교수(강원대학교 수의학과) 전세우 부장(농협경제지주 축산경제 친환경방역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