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양돈

야생멧돼지 서식 ‘제로’라는데…“강화·김포 재입식 미룰 이유 있나”

정부 야생멧돼지 발생 감안 재입식 시기·기준 등 조율
업계 “두지역 재입식 여부 따라 양돈재건 정부 의지 가늠”

[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ASF 살처분 양돈농가들의 시선이 강화와 김포지역으로 집중되고 있다.
방역당국은 살처분농가의 재입식 시기 뿐 만 아니라 재입식 허용여부를 판단할 위험평가 및 시설기준에도 야생멧돼지의 존재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음을 공공연히 밝혀온 상황.
이런 정부 입장대로라면 야생멧돼지 서식 ‘제로’ 지역으로 분류된 강화·김포는 타 지역의 야생멧돼지 ASF 발생여부와 관계없이 재입식 절차가 진행돼야 한다는 시각이 양돈현장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야생멧돼지 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환경부는 ASF 발생이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김학용 위원장(자유한국, 경기 안성)에게 제출한 보고서를 통해 강화 김포지역에는 야생멧돼지가 서식하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이들 지역에서 ASF가 발생한 직후에도 파주, 연천 등 다른 지역과 달리 야생멧돼지 예찰이 이뤄지지 않았다. 당시 본지 취재과정에서도 환경부 담당자가 이러한 사실을 인정하기도 했다.
물론 ASF의 국내 첫 발생이 공식 확인된 지난 9월17일 강화지역 주둔 군부대 철책선내에서 북한으로부터 헤엄쳐 바다를 건너온 것으로 추정되는 야생멧돼지가 확인됐다는 사실이 일부 언론에 보도, 환경부가 긴급 예찰과 함께 포획틀을 설치하기도 했지만 아직까지 서식 야생멧돼지의 존재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강화군의 한 관계자는 “10월8일부터 20일까지 이뤄진 예찰에서 야생멧돼지의 흔적은 확인하지 못했다. 야생멧돼지로 인한 농경지 훼손 등의 신고실적도 없는 상황”이라며 “관내 야생멧돼지의 포획이 허가됐지만 아직 잡힌 게 없다”고 밝혔다.
그러자 살처분 농가들의 재입식 지연이 야생멧돼지 때문이라는 게 정부 입장인 만큼 야생멧돼지가 서식하지 않는 지역에 대해서는 모든 기준이 달리 적용돼야 한다는 지적이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ASF 발생지역의 한 농가는 “사육돼지의 마지막 살처분이 종료된지 한참이 지났다. 기존 SOP대로라면 재입식 절차가 진행되고도 남을 시점이지만 정부는 재입식 관련 모든 사안들에 대해 야생멧돼지와 연결시키며 정확한 입장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며 “그렇다면 자신들이(정부가) 야생멧돼지의 서식을 인정하지 않는 지역 만큼은 달라야 하는데 강화김포지역 역시 재입식은 논의조차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말이 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언제부터인가 양돈농가와 수의전문가들 사이에 강화와 김포지역의 신속한 재입식 여부가 국내 양돈산업 재건에 대한 방역당국의 의지를 판단하는 기준점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짐작케 하는 대목이다.
방역당국은 여전히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강화군의 또 다른 관계자는 지난 3일 사견임을 전제, “야생멧돼지만을 고려한다면 (강화지역 양돈농가들의) 재입식은 가능하다고 본다”며 “그러나 정부의 결정에 따를 수밖에 없다. 아직까지 정확한 지침은 없는 상태”라고 밝혔다.
정부의 반응 역시 크게 다르지 않다.
농식품부의 한 관계자는 지난 4일 “재입식을 위한 위험평가 기준이 곧 마련될 것”이라면서도 “확정되지 않은 이상 보다 구체적인 일정은 언급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