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서동휘 기자]
Interview 농식품부 축산환경자원과 김보민 사무관
가축분뇨 에너지화 촉진
친환경 농가엔 인센티브
- 사회 전반에 걸쳐 탄소 저감이 단연 화두다. 축산부문도 이와 관련해 지적을 받고 있고 이를 해결키 위해 정부도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온실가스 감축 등 저탄소 축산업을 위해 전반적으로 어떠한 정책들이 진행되고 있는가.
“큰 틀에서 온실가스 직접 감축, 타 분야 온실가스 연계 감축, 저투입 구조 전환 등을 통해 축산분야의 경우 현재까지 연간 배출량이 900여만톤 인데, 이를 감소시켜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773만톤)’를 달성하는 것이 주목표다.
먼저, 온실가스를 직접 감축하는 방법으로 분뇨 처리방식 개선, 저탄소 사양 관리(저 메탄·질소 저감 사료 보급), 생산성 향상(가축개량, 축사시설현대화) 등을 통해 오는 2030년까지 축산부문 온실가스 320만톤을 줄일 계획이다.
두 번째로, 축분 재생에너지와 연계한 화석연료 대체 등을 활용해 타 부문의 온실가스 180만톤도 줄일 계획이다. 특히 에너지화시설 발전 폐열을 하우스 난방용으로 활용하는 에너지 자립형 단지를 확대하고, 축분 고체연료를 활용해 화석연료 대체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도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
아울러, 스마트 축산, 경축 순환 농업 확산을 통해 현재 고투입 사육 관행을 저투입·저배출 구조로 전환키 위해 노력하고 있다. 스마트축산을 통해 빅데이터, 스마트 장비 등을 활용, 최적 사양 관리 보급으로 분뇨·냄새·질병·폐사 등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식품 부산물 등을 사료화하여 가축에 급이함으로써 농식품산업에서 발생한 온실가스를 축산부문에서 흡수한다.
이와 함께 조사료 생산을 확대하는 한편, 거래 플랫폼 구축 등 안정적 생산· 유통 기반을 확충해 볏짚 등을 양질조사료로 대체하는 등 탄소 선순환 체계를 조성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 정부가 축산부문 온실가스 감축에 적극적인 만큼, 이를 실현하기 위한 농가의 참여 확대 방안은.
“축산농가의 저탄소 영농활동이 온실가스 감축 실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지원하고, 축종별·기술별 탄소 감축 방법론 등록·보급과 함께 농가·지역 단위로 온실가스 감축 실적을 등록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는 동시에 사육밀도 관리 강화 등 축산 온실가스 관리체계를 마련해 이행관리에 철저히 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온실가스 산정방법 고도화 국가 인벤토리 확충 및 신규 감축 기술 개발 등을 통해 자발적 참여 견인이 목표다.
한편, 축산농가의 이행력 제고를 위해 저탄소 축산물 인증제를 활성화하고, 지난 2024년부터 시행 중인 저탄소 농업 프로그램 등을 통해 농가에 인센티브를 지원한다.
그 외에도 올해부터는 축산 유기 지속직불을 도입하고, 깨끗한 축산농장 인증을 지속 확대하고 있다. 또한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 등도 활용해 축산환경 개선 활동을 지원할 계획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최근 가축분뇨 이용 다각화를 위한 정부의 노력이 적지 않다. 추진 사업과 성과는.
“농식품부는 퇴·액비 살포 농경지 감소 영향과 축산부문 탄소중립 이행을 위해 기존 퇴·액비 방식을 바이오가스·고체연료 등 에너지화로 전환하려는 노력 중이다.
현재까지 가축분뇨 공동자원화시설 지원 사업을 통해 바이오가스 시설 10개소를 설치했고, 7개소를 설치하고 있는 등 안정적 전환을 추진 중이다. 앞으로는 가축분의 에너지화 전환 촉진을 위해 발전소 등을 중심으로 고체연료 수요처를 확보하는 것에 방점을 두고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간 수요처 부족 등으로 활성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지만, 최근 재생에너지원 중 하나로 발전소 등에서 수입목재펠릿 대체를 검토하고 있기도 하다.
또, 농식품부, 발전소, 농협 등 관계기관 간 협업을 통해 가축분 고체연료 시험발전 등을 추진했는데, 발전량 등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있는 상황이다. 이에 산업부 등과 함께 고체연료 고도화를 위한 R&D를 공동 기획하고 있는 등 고체연료 활성화를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특히, 가축분뇨 관련 지원과 규제를 각각 관장하는 농식품부와 환경부가 가축분뇨 처리 구조를 환경친화적 신산업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공통으로 인식해 지난 2024년 업무협약을 체결, 축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에 대한 규제 합리화로 신산업화에 속도가 더해지고 있다.”
- 마지막으로 축산농가와 축산물 소비자인 국민에게 하고 싶은 말씀은.
“현재 우리나라 축산업은 위기 요인과 기회 요인이 공존하고 있다. 지난 2023년 기준 축산업 생산액은 24조2천억원으로 전체 농업 생산액의 41%에 달하며, 경제성장과 함께 국민의 육류 소비량이 증가하면서 축산업은 지속해서 성장 중이다.
그러나 양적인 성장과 함께 가축 질병과 냄새, 온실가스 등 환경 부담이 늘어나 축산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 적지 않다는 것이 문제다. 이에 정부는 ‘얼마나 많이’ 보다, ‘어떻게’ 생산할 것인지를 고민하면서 지속가능한 축산업 발전을 위해 온 힘을 쏟고 있다.
축산환경 정책 방향은 한마디로 축산분야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과 함께, ‘저탄소 녹색 축산업을 구현’해 나가는 것으로, ‘저탄소 축산물 인증제’와 함께 축산 현장에서 온실가스 저감 활동에 직불금을 지원하는 ‘저탄소 농업 프로그램’의 고도화를 통해 농가의 자발적인 온실가스 감축을 뒷받침해 나가겠다.
앞으로도 농식품부는 정책이 충실히 이행되고 더 발전해 축산업이 국민에게 사랑받고 환경에 도움이 되는 산업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