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영길 기자]
대한수의사회, 농장동물 진출 기피·공무원 업무 과부화 '솔루션' 제안
방역 효율화·신규 수의사 유입 효과 "수당보조·역할확대 정부지원 필요"
거점동물병원과 농장전담수의사 제도를 도입, 가축질병 방역 효율을 높여야 한다는 수의업계 주장에 설득력이 실린다.
이 제도는 민간 수의사의 가축질병 방역 참여를 확대하고, 신규 수의사의 농장동물 분야 진출을 이끌어내는 방안이기도 하다.
대한수의사회(회장 허주형)는 지난해와 올해 총선과 대선을 거치는 동안 거점동물병원, 농장전담수의사 제도 도입을 정책건의했다.
이에 따르면 거점동물병원과 농장전담수의사 제도는 사실상 한몸이다.
민간 동물병원 수의사는 시·군 또는 시·도 단위에 거점동물병원을 공동 개설한다. 거점동물병원은 축산규모에 따라 1개 시·군, 3~5개 시·군을 관할한다.
소속 수의사들은 읍·면 등으로 진료지역을 나누고 진료시간을 분할해 해당농장을 전문 담당한다. 교대근무를 통해 주말 응급진료 등이 가능해진다.
권역내 농장들은 거점동물병원 소속 수의사와 전담 진료 계약을 맺는다. 농장전담수의사다.
농장전담수의사는 주기적 또는 수시로 농장을 방문, 가축질병 현황을 살피고 방역활동을 펼친다.
대한수의사회는 이를 통해 미리 예방하고 신속 조치하는 등 가축질병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수의사에게는 안정적 소득원 등을 제공, 농장동물 분야 진출 선호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전했다.
특히 시·도 동물위생시험소 일부 업무를 거점동물병원에 이관할 경우, 공무원 수의사 업무 과부하를 덜어내는 효과도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거점동물병원과 농장전담수의사 제도가 원활히 도입·정착하려면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기피지역, 주말·야간 근무에 대해 수당을 일부 보조하는 등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지원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소 50두 이상 전업농가라고 해도 농장전담수의사에 백신접종을 위탁하는 등 거점동물병원(농장전담수의사) 역할을 확대할 필요성도 있다고 밝혔다.
실제 수당보조, 백신접종 위탁 등을 실현하는 지자체가 하나씩하나씩 생겨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허주형 회장은 “상생·소통 방역으로 가야 한다”면서 “결국 전문가(수의사)를 중심으로 한 민간이 가축질병 방역 중심에 서야 한다. 거점동물병원, 농장전담수의사 등 가축질병 방역에 민간 참여를 확대할 제도개선이 서둘러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