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이 본격화되면서 농촌 지역 주민들이 사용처 부족으로 불편을 겪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사단법인 한국후계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이하 한농연)는 지난 4일 성명서를 통해 농촌의 특수성을 고려해 소비쿠폰 사용처를 확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농연은 성명서에서 “소비쿠폰 지급률이 90%를 돌파하며 국민적 관심이 높지만, 생활·편의 시설이 부족한 농촌은 마땅한 사용처가 없어 이용이 어렵다는 민원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고령 인구 비중이 높고 교통 여건이 열악해 기간 내 사용이 쉽지 않다는 우려가 크다고 덧붙였다.
또한, 한농연은 소비쿠폰의 정책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사용처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연 매출액 30억 원 초과’ 시 일률적으로 사용처 등록을 제한하는 현행 지침 때문에 대다수 농축협 경제사업장(영농자재판매장, 주유소, 하나로마트 등)에서 소비쿠폰 사용이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최근 기록적인 폭우로 농촌 지역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한 상황도 언급됐다. 한농연은 “수해 복구로 한시가 아까운 상황에서 정작 근처에는 소비쿠폰으로 생필품을 구매할 수 있는 곳이 마땅치 않다”며 “농촌 지역 읍·면 단위 농축협 경제사업장에 대해 시급히 사용을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한농연은 행정 당국에 국민주권정부의 첫 민생정책인 소비쿠폰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사용처 확대를 전향적으로 검토해 줄 것을 촉구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