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기자]
Q. 암소 육성우 첫 수정에 대해 문의합니다. 현재 암소가 24년 8월 17일생입니다. 언제쯤 첫 수정에 들어가야 합리적일까요? 사람마다 기준이 다 달라서 문의합니다.
A. 김덕임 박사(농협축산컨설턴트)=건강한 송아지 생산을 위해서 2개월 이후 실시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최근 들어 송아지 생시 체중이 크다 보니 조심해야 합니다. 종모우 육량 개량이 많이 되어서 그렇습니다. 앞으로 더 많은 송아지를 낳으려면 초임 때 무리하지 말고 수정하기 바랍니다.
Q. 임신우 임신 9개월에 분만까지 3주 남았습니다. 왼쪽 뒷다리 고관절 탈구가 와서 기립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긴급 도축하려고 했는데 제가 2주 정도 어미소 케어하면서 분만예정일 1주일 전에 유도분만 해보려고 합니다. 어미소 상태가 좋으면 예정일까지 가서 출산시키려고 합니다. 어미소는 1일 1회 피하로 수액 처방하고, 물은 직접 먹여주고 있고, 사료는 잘 안 먹는데 건초는 조금 먹습니다. 제 계획이 혹시 가능할 것 같나요? 고관절 탈구로 인해 자연분만은 어려울까요? 유도분만 하여 견인 출산이 가능한가요? 제왕절개 해야 되나요?
A. 김영준 수의사(농협한우개량사업소)=기간이 너무 긴 것 같습니다. 횡와 자세에서 유도분만도, 제왕절개도 쉽지 않습니다. 리프트 같은 것으로 기립할 수 있으면 제왕절개 후 도축이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 직접 진료하지 않아 정확한 답변이 어렵습니다. 주변 수의사와 상의해보길 바랍니다.
Q. 9월 6일 분만 예정인 초임우가 8월 11일 아침부터 사료도 잘 안 먹고 앉아 있습니다. 앉아서 자꾸 배를 발로 차고 결국엔 드러눕기까지 하는데 당일에는 진통이 온 건가 했지만, 파수가 터지거나 하지는 않더라고요. 혹시 임신중독일까요? 아니면 다른 문제가 있는 걸까요. 만약 임신중독이라면 어떻게 치료해야 하나요. 11일 저녁에 카토살 20mm 근육주사, 비간톨 5mm 근육주사 했습니다.
A. 김현진 박사(서울대)=혹시 배가 양쪽으로 많이 부풀었나요? 분만할 때쯤 복통이 오는 양상이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양막 및 요막 수종일 수도 있고 자궁염전일 수도 있습니다. 해당 사항은 임상증상과 직장검사를 통해 감별할 수 있습니다. 주변 수의사에게 진료 의뢰해서 정확한 원인을 찾으신 후 치료하시기 바랍니다.
Q. 송아지 사료는 몇 개월까지 먹는 게 좋나요? 3개월령부터 육성우 사료를 섞어주고, 4개월령이 되면 육성우 사료로 전부 전환하는데 어떤 것이 좋은 건지 싶어서요. 송아지 사료 많이 먹으면 설사하는데 어쩌죠. 무제한으로 주고 싶은데.
A. 김현진 박사(서울대)=분만 후부터 육성기 생후 12개월령까지 사육단계별 사료 선택은 선택하신 사료 공급사의 단계별 사양에 준해 급여하면 됩니다. 다만 분만 후 이유 전 입붙이기 사료 적용과 이유 전후 사료 변경 유무에 따라 다릅니다. 아울러 이유 후 조사료 섭취량 전략에 따라 육성우 사료 적용 시기가 다를 수 있습니다. 대체로 이유 전 입붙이기 사료를 자유 채식하고 이유 후 어린송아지로 전환하면서 양질 조사료를 급여하고 6~7개월령 이후 육성우 사료로 변경하는 단계별 사양을 일반적으로 적용합니다. 그러나 사료 변경 시 적응 스트레스로 인해 어린송아지를 약 7~8개월까지 연장하기도 합니다. 이 경우 6개월 이후 조사료 급여량을 늘려 조농비 조절에 유의해야 합니다. 질문 내용을 보면 4개월령에 사료 변경하는 것 보다는 5~6개월령까지 어린송아지 사료를 연장 급여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자료 : 농협경제지주>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