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제 21대 대한한돈협회장 선거에 나선 3명의 후보자 모두 현행 동물복지 정책에 대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선거 결과에 관계없이 한돈협회의 새로운 집행부 역시 오는 2030년부터 스톨사육 금지를 예고한 정부와의 충돌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구경본·이기홍·한동윤 후보(이상 기호순)는 지난 9월 26일 경기지역을 마지막으로 모든 일정이 마무리 된 전국 순회 소견 발표회를 통해 돼지 동물복지 정책에 대한 개선 노력을 약속했다.
구경본 후보는 “동물복지는 의무가 아닌, 농장의 선택에 맡길 수 있도록 정책의 대전환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동물복지 인증 농장이 아닌, 일반 농장에서 생산된 돼지고기에 대해 소비자들이 부정적 시각을 갖지 않도록 과대 광고는 반드시 차단돼야 할 것으로 분석했다.
구 후보는 이에 따라 한돈미래연구소에서 동물복지 관련 연구와 대안이 마련되면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수립, 정부와 협의에 나설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기홍 후보는 2030년 스톨 사육 금지를 우선 유예하는 동시에 국내 현장에서 수용 가능한 한국형 동물복지 모델의 도입을 제안했다.
동물복지를 주도하는 덴마크 마저도 여러 가지 부작용을 우려, 오는 2035년으로 동물복지 도입을 유보한 사실을 감안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후보는 “모돈 30% 감축에 따른 생산비 상승, 서열 다툼 등 부작용을 직접 확인시키며 정부를 설득하되 사람이 아닌, 돼지를 위한 동물복지 정책이 만들어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동윤 후보는 동물복지로 생산된 돼지고기 판매를 의무화, 가격 상승과 공급 부족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며 관련법의 폐지까지 요구되고 있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등 해외 사례를 지적하고 농가 자율적인 동물복지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 후보는 이를 위해 “각자 여건을 고려해 동물복지를 선택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며 "예를들어 신선한 물과 사료 급여, 사육면적 기준을 준수하는 1단계 동물복지, 스톨은 유지하되 분만틀을 개방하는 수준의 2단계 동물복지, 기존의 동물복지 기준을 따르는 3단계 복지 등으로 구분하는 방안 등이 그 것"이라고 제안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