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서동휘 기자]
송옥주 의원, ‘방역 공백’ 우려…처우개선·인력난 해소 방안 촉구
가축 방역현장의 핵심 인력인 가축방역사 인력 부족 문제가 심각하다는 지적이다. 가축 방역 공백 사태가 우려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송옥주 의원(경기 화성갑, 농해수위·사진)이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가축방역사 1인당 담당 농가 평균이 500호를 돌파해 1인 평균 526호를 담당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 담당 농가 수는 경북(578호), 충북(573호), 경남(572호), 충남(553호), 전남(540호) 순이다.
가축방역사는 방역현장에서의 긴급 대응부터 평시 예찰·점검까지, 축산 질병 예방과 차단의 핵심 역할을 맡고 있는데, 갈수록 채용인원은 줄어드는 반면, 퇴사자는 많아져 인력난이 가중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실제로 가축방역사 채용인원은 2025년 8월 기준 29명이다. 지난 2024년 62명이었던 것에 비하면 약 53% 감소한 수치. 이마저도 실제 최종 선발된 인원은 19명에 불과하다.
아울러 퇴사자도 꾸준히 늘고 있다. 최근 5년간 가축방역사 퇴사 인원은 173명에 달했으며, 지난 2020년 18명에서 2023년 47명으로 약 2.6배 증가했다.
송옥주 의원은 “고병원성 AI, ASF 등 가축전염병의 확산으로 축산업계의 어려움이 큰 상황에서 방역 인력 부족은 곧 ‘방역 공백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며, “정부는 현장에서 고군분투하는 가축방역사의 처우개선과 지원을 강화하는 등 인력난 해소 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