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양돈

돼지 유전체정보 클릭 한번으로 OK

축산과학원·김희발 교수 공동 통합검색시스템 구축

[축산신문 김은희 기자]
 
돼지의 유전체 정보를 집대성한 사이트가 공개됐다.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원장 이상진)은 돼지 유전체정보 통합검색시스템(PGD; http://pigenome. nabc.go.kr)을 서울대 김희발 교수와 공동으로 구축했다.
돼지 유전체정보 통합검색시스템은 돼지의 등지방, 복부지방, 지방세포, 등심, 간, 뇌하수체 등 6개 조직에서 작동하는 유전자(EST; Expressed Sequence Tag)를 확보, ▲염색체상의 위치정보 ▲유전자 온톨리지 (Gene Ontology)를 이용한 기능정보 ▲DNA 염기서열변이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 뿐만 아니라 인간, 쥐, 소, 개 등과의 유전체 정보를 비교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비교유전체(comparative genomics) 연구를 통한 다양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축산과학원 조용민 박사는 “돼지 유전체정보 통합검색시스템에는 기존 돼지의 유전체정보와 관련된 자료가 모두 들어있을 뿐 아니라 재래돼지와 국제 돼지 게놈 프로젝트의 유전체 정보까지 들어있다”며 “지금까지는 돼지와 관련된 유전체 정보를 찾기 위해서 이곳저곳 사이트를 돌아다녀야 했지만 앞으로는 돼지 유전체정보 통합검색시스템만 클릭하면 모든 정보를 찾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금까지 돼지유전체 등 유전자 검색을 위해서는 해외에서 구축된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활용해야 했지만 검색시간 지연, 트래픽(traffic) 증가 등으로 인해 연구의 신속성, 효율성 및 보안성에 대한 문제가 지적돼 왔다.
그러나 이번에 구축된 돼지유전체 통합검색시스템(PGD)은 돼지 유전체정보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 인프라를 제공함으로서 국내 생명공학연구 및 관련 산업의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반 확보 차원에서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축산과학원은 앞으로 돼지의 생산성 및 질병저항성 관련 유전자 탐색 등과 관련된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대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용어설명*
▲EST (발현서열표지) : 유전자의 서열 중에서 단백질을 생산하는 부위(발현서열, exon)에 대해 일반적으로 500bp이하의 비교적 짧은 길이로 만든 태그.
▲Gene ontology : 유전자(gene)가 만들어내는 산물(product)의 생물학적 기능(biological objective), 생화학적 활성도(biochemical activity), 세포내 활성 위치(activating place in a cell)에 관한 정보.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