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농협대학교 총장) ▶ 1980년대 까지만 해도 쇠고기의 부정유통은 많이 발생하는 이슈였다. 신문에 “소 불법 도축업자 구속” “수입쇠고기 한우로 둔갑판매” “소 부정유통업체 적발”이라는 제목의 뉴스가 자주 보도되었다. 이러한 부정한 유통으로 이익을 얻는 사람들은 유통업체나 요식업체들이고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 피해를 보게 되므로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되는 사안이었다. ▶ 상품의 원산지관련 국제규범은 WTO의 원산지규정에 관한 협정과 교토협약 부속서에 근거한다. 우리나라는 1991년 7월 1일 ‘대외무역법’을 개정해 수입농산물의 원산지표시제도를 도입했다. 이 제도는 ‘수입개방화 추세에 따라 값싼 외국산 농산물이 무분별하게 수입되고 이들 농산물이 국산으로 둔갑되는 등 부정유통사례가 늘어나고 있어서 공정거래질서를 확립해 소비자와 생산자를 보호하기 위해’ 도입한 것이다. 이어서 농림수산부는 외국산 농산물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유통되는 ‘모든 농수산물 및 농산가공품’의 공정한 거래질서 확립을 위해서 1993년 6월 11일 ‘농수산물 가공산업 육성 및 품질관리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농수산물과 가공품에 대한 원산지표시제도를 전반적으로 확대했다. 1997년 12월 13
[축산신문 기자] Q. <31>돼지는 몇 개월째에 성적으로 성숙이 이루어져 새끼돼지를 생산할 수 있게 되나요? A. ▣ 암퇘지의 성성숙 암퇘지의 성성숙은 생후 135∼250일령 사이로 범위가 넓게 나타나지만, 대개 200 일령 전후에 이루어지지만, 생후 8개월령 또는 체중이 110∼120kg 정도가 되고 규칙적인 발정이 2∼3회 반복된 이후에 번식에 공용하는 것이 좋다. ▣ 수퇘지의 성성숙 수퇘지의 성성숙은 생후 120일령 이후에 이루어지지만, 이 때는 아직 수퇘지가 발육 중에 있고, 사정되는 정액량과 정자수 또한 충분하지 못하며, 미성숙 및 기형정자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생후 180∼240일령 이전에는 번식에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퇘지는 생후 8개월령 또는 체중이 120∼130kg이 넘었을 때 번식에 공용하는 것이 좋다. Q. <32>어미돼지의 발정주기와 이와 관련된 호르몬 변화에 대해 알려주세요. A. ▣ 돼지의 발정주기 돼지의 발정주기는 대개 20∼22일(평균 21일)이며, 연중 반복되어 나타난다. 발정지속 시간은 40∼70시간(평균 48시간)이며, 일반적으로 새끼를 낳은 경험이 있는 경산돈(sow)이 초산돈보다 더 발정지속시
(전 농협대학교 총장) ▶ 한국을 방문했던 외국인들에게 한국음식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게 뭐냐는 질문에 대부분이 ‘불고기’라고 대답했다. 다음으로 떠올리는 요리로는 비빔밥, 갈비, 잡채, 삼겹살, 삼계탕, 떡볶이, 김밥, 김치찌개, 치맥 등이었다. 미국, 호주, 캐나다, 중국 등 외국에 있는 한국식당을 방문한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좋아하는 한국음식을 물었더니 1위가 불고기이고 이어서 갈비찜 또는 양념갈비, 비빔밥, 삼겹살, 잡채 등으로 답변했다. 어느 경우든 불고기는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한국음식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세계 어느 나라 음식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 고기를 소스에 재워서 구워먹는 불고기와 같은 요리는 세계 어느 나라에도 없다. ▶ ‘불고기백반(줄여서 불백)’은 추억의 음식이 아니다. 아직도 현재진행형이다. 그런데도 전성기를 마감하고 인기가 시들해진 음식처럼 느껴지는 것은 무슨 까닭일까. 내가 중·고등학교를 다니던 시절만 해도 불고기백반은 최고의 대접을 받는 고급음식이었다. 쇠고기를 얇게 썰고 채소, 양파, 버섯, 다진마늘 등을 섞어서 배즙에 버무려 재운 뒤에 그 양념소고기를 노란 색깔의 구멍 뚫린 놋쇠판에 얹어 숯불에 익혀 먹는 ‘불고기’ 맛을
(북방연구회 연구위원) ◆ 북한의 수의방역체계와 가축질병현황 북한의 수의방역체계로 북한의 수의방역기구는 직접기구와 간접기구로 구분하며, 직접기구는 상설기구와 비상설기구로 나뉜다. 상설기구는 수의방역소, 가축병원, 수의초소, 수의방역대, 국경수의검역소 등이며, 비상설기구는 수의비상방역위원회, 기동방역대 등이 있다. 간접기구에는 수의약품공장, 수의기술일꾼양성기관, 수의과학연구기관이 있다. 한편, 수의방역연구 개발과 관련한 학술연구기관으로 국가과학원, 농업연구소 산하에 수의학연구소가 있으며, 유일한 수의축산전문대학인 평성수의축산대학과 각 지방농업대학에 수의축산 학부를 두고 있다. 북한지역에서 수의방역을 위한 시스템은 비교적 정연하게 되어 있으나 재원의 부족, 정책과 현실 간의 괴리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가축전염병이 만연하고 있다. 극심한 경제침체로 인한 재원부족에 시달리는 북한의 축산현실은 사료부족, 관리부족을 가져왔고, 제대로 먹지 못한 가축들의 건강상태는 나빠져 허약한 가축무리에 각종 전염성 병원균들이 사정없이 침습해 전염성 질병이 창궐하고 있다. ◆ 남북한 수의방역공조과제 남북한 가축질병 예방을 위한 수의방역 공동의 과제를 아래와 같이 엮어 보았다. ①가축
[축산신문 기자] Q. <28>돼지 개량에서 ‘육종가’라는 말을 많이 쓰는데 이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A. ▣ 육종가의 의미 어떤 가축의 육종가는 그 가축의 종축으로서의 가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등록번호 ‘661197’ 수컷의 90kg도달일령에 대한 육종가는 우리나라에 있는 여러 암컷을 임의로 뽑아 ‘661197’과 교배해 자돈들을 얻은 다음, 이 자돈들의 90kg 도달일령의 평균에서 우리나라 돼지 전체의 90kg 도달일령의 평균을 뺀 값을 2배한 값이 된다. 여기서 2배를 하는 것은 ‘661197’ 능력의 절반(1/2)만이 자돈에게 전달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교배대상 암컷을 많이 뽑을수록 다시 말해 교배해 얻은 자돈의 숫자가 많을수록 우리가 구한 육종가의 정확도는 높아진다. ▣ 육종가의 활용 예 어떤 개체의 육종가가 음(-)의 값이 나왔다면 아래 식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그 개체의 능력이 전체평균보다도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여기서 주의할 것은 육종가가 음의 값이 나왔다고 해서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만약 일당증체량에 대한 사료요구율(1kg증체에 필요한 사료의 양)의 육종가를 추정해 보니 A란 돼지는 0.
(전 농협대학교 총장) ▶ 어릴 적 시골 동네에서 드물게 소나 돼지를 잡는 날이 있었다. 대개 소는 부잣집에 경사가 났을 때 잡았고, 돼지는 형편에 따라 잔칫집이나 초상집에서 잡았다. 건장한 청년들이 도축에 동원되었고 아낙네들은 고기를 삶고 육개장, 내장탕, 선짓국을 끓이느라고 바빴다. 어른부터 아이들까지 모처럼 배부르게 먹었다. 어른들은 좋은 안주에 막걸리를 기울이며 행복해 했다. 동네 아이들은 오줌보에 물을 넣어 축구를 했다. 공이 없던 시절이므로 오랜만에 공차기를 한 게다. 그렇게 희생된 한우 덕분에, 이렇게 동네 전체가 즐겁고 행복한 하루를 보냈다. ▶ 예전에 한우는 우리에게 모든 것을 주었다. 농사철에 농사일을 해주었고, 매일 두엄을 밟혀주었고, 아들에게는 등록금이 되었고, 딸에게는 혼수를 장만해주었다. 때로는 장사 밑천으로 쓰이기도 하고 논을 사는데 보태기도 했다. 고된 일을 하면서 불평도 없고 소리 한 번 지르고 반항해본 적도 없다. 소 장사에게 팔려가면서도 주인을 원망하지도 않았다. 작별할 때 선한 큰 눈망울에서 눈물 한 방울 뚝 떨어뜨린 게 전부였다. 모든 것을 참고 견디며 아낌없이 희생한 것이다. 죽어서까지 말없는 가운데 자신의 모든 것을
(전 농협대학교 총장) ▶ 한우는 세계의 소 품종 중에서 우리나라에서만 기르는 유일한 품종이다. 세계의 소품종을 보면 아주 다양하다. 용도에 따라 고기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육용종(肉用種), 젖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유용종(乳用種), 농사 등 일을 부리기 위한 역용종(役用種) 그리도 두 가지의 목적으로 기르는 겸용종(兼用種)으로 구분한다. 육용종으로는 서양품종으로 헤어포드(Hereford), 애버딘 앵거스((Aberdin Angus), 샤로레(Charolasis), 쇼트혼(Short horn), 브라만(Braman) 등이 있다. 동양에는 한국의 한우(Hanwoo), 일본의 와규(Wagyu, 和牛), 중국의 황우(黃牛) 등이 있다. ▶ 한우는 예전엔 농사일을 하는 역용종이었지만 지금은 육용종으로 바뀌었다. 농업기계가 한우를 대체했고 한우는 육용으로 개량되었다. 우리의 고유한 품종이고 수천 년 동안 우리민족과 함께 같은 땅에서 가족처럼 살았기 때문일까. 한우고기의 맛은 참 신기하게도 우리 입맛에 맞는다. 다른 품종의 고기맛과 달리 담백한 맛을 지니고 있다. 국을 끓이면 국물이 담백해 시원한 맛을 낸다. 느끼한 맛이 없어서 많이 먹어도 물리지 않는다. 꼬리나 사골을
[축산신문 기자] Q. <24>재래돼지 고기가 맛있다고 하는데,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A. ▣ 재래돼지 육질 특성 먼저 육색은 적색도가 높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맛있어 보이고, 물퇘지(PSE육) 고기 발생율이 적다. 또한 근섬유수가 많고 근섬유 굵기가 가늘어 고기가 쫄깃쫄깃하고 씹힘감이 좋다. 일반 비육돼지에 비해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높아 풍미와 기호성이 높다. 이는 고기 맛을 내는 글루타민산(glutamic acid)이 3.3%로 비육돼지 2.5%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고, 그 외 맛과 관련된 아미노산인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등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재래돼지는 고기 내 근내지방 함량이 높아 고급육으로서 가치가 매우 높다. Q. <25>국립축산과학원에서 개발한 종돈을 분산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분산한 목적과 장소가 궁금합니다. A. ▣ 분산목적 축산원에서는 축진듀록(듀록), 축진 돈(재래돼지), 축진랜드(랜드레이스), 축진요크(요크셔)를 개발했다. 이러한 종돈들은 유전자원 차원에서 보존하며, 경제형질에 대한 개량도 하고 있다. 하지만 구제역 등의 악성 전염병 발생하거나 전시상황으로 이 종돈이 소실된
(전 농협대학교 총장) ▶ 2012년 10월 31일 오후 2시, 농협중앙회 주관으로 안성팜랜드 축산종합전시장에서 2012년도 ‘전국한우경진대회’가 열렸다. 전국에서 모인 한우농가와 축산인들이 행사장을 가득 메웠고, 각 도 예선을 거쳐 결선에 오른 한우 120여두가 출품되어 제각기 몸매를 뽐내고 있었다. 야외 운동장에는 관련 업체들이 부스를 차려놓고 한우농가들이 방문해 주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예전의 경진대회와 비교하면 그 규모나 참가인원이 훨씬 더 커지고 많아졌다. 그만큼 한우산업이 발전했다는 증거였다. 대회장 전체에 활기찬 기운이 가득함을 느낄 수 있었다. 참으로 감개무량한 순간이었다. ▶ 우리소, 한우의 개량을 촉진하기 위해서 1969년도 10월 29~30일에 한국마사회(당시 성수동 소재)에서 ‘제1회 전국한우챔피언대회’를 개최된 이후 1996년 ‘전국한우경진대회’까지는 2년마다 전국대회가 열려, 총 16회에 걸쳐 개최되었다. 그러나 1997년 뜻하지 않은 IMF 외환위기가 닥쳐 1998년 대회가 무산되었고, 2000년도에 구제역(FMD)이 발생한 이후 중단되어 왔던 한우경진대회를 16년 만에 부활한 것이니 한우산업계 모두의 경사가 아닐 수 없었다. ▶
[축산신문 기자] Q. <23>국립축산과학원에서 보존 중인 재래돼지는 어떤 외모특징이 있나요? 또 농가에서 분양받을 수 있나요? A. ▣ 재래돼지의 기원 재래돼지는 우리나라 고유품종으로 2천여년 전 고구려 시대 한반도에 정착하였으며 사육지역의 명칭에 따라 지례돈, 사천돈, 강화돈 등으로 불리었다. 하지만 한일합방 이후 버크셔종과 요크셔종 등이 국내로 도입되고 다른 품종과 교잡되면서 순수성을 잃기 시작했다. ▣ 재래돼지의 복원 과정 1980년대 국내유전자원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1989년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구 축산시험장)에서 각지역에 있는 재래돼지를 수집하고 복원하기 시작했다. ▣ 재래돼지 분양 여부 재래돼지 복원과정 중 일부돼지를 일반농가에 분양한 적이 있지만, 현재는 대부분 국가기관에서 재래돼지를 관리하고 있다(국립축산과학원, 전남농업기술원, 경북축산기술연구소 등). 재래돼지는 생산성이 타품에 비해 낮아 산업적으로 이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유전자원 보호 차원에서 국가기관에서 관리하고 따로 분양은 하고 있지 않지만, 현재 재래돼지 산업화를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자료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신문 기자] Q. <20> 국립축산과학원에서 개발한 ‘축진듀록’은 어떤 돼지이며 활용하면 무엇이 좋은가요? A. ▣ 개발배경 ○ 듀록종은 종돈장에서 사육을 기피하여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다. - AI센터 듀록 (2천400두/년), 필요두수(1천200두/년), 수입두수(350두/년) ○ 소비자의 수요 및 수입돈육과의 차별화를 위한 씨돼지 개발 요구로 개발된 축진듀록은 PSS유전자가 없으며, PRRS 가 음성인 돈군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산육능력과 육질성적이 우수하다. ▣ 조사성적 ○ 산육능력 우수 : 돼지 우수인공수정센터 기준 규격 합격률(70%) ○ 육질능력 우수 : 육질 1+등급 출현율(순종59%, 3원교잡 38%) ▣ 보급시 기대효과 ○ 외부 경제성 분석 전문기관인 “이암허브” 분석결과를 보시면 축진듀록을 사용함으로써 얻는 경제가치가 아래와 같다. ○ 300두 전량 보급시 : 기술가치(384억원)/ 경제가치(3천285억원/20년) Q. <21> ‘축진듀록’ 씨돼지가 돼지인공수정센터에서 정액을 보급한다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 ‘축진듀록’ 정액을 받아서 쓸 수 있나요? A. 축진듀록 보급은 지난 2013년과 2014년 동부씨멘뱅크, 다
[축산신문 기자] (전 농협대학교 총장) ▶ 한우개량의 역사를 보면 일제 강점기에 한우의 보호·증식을 위한 각종 시책과 개량사업이 추진되면서부터 시작된다. 1912년 총독부령 9호에 의한 ‘축우의 개량 증식에 관한 사항’이 최초의 개량시책이었고, 1916년 총독부령 55호에 의한 ‘보호우 규칙’, 1917년 ‘거세우장려시책’, 1921년 ‘한우개량시책’ 그리고 1938년에 제정한 ‘한우의 심사표준’ 등이 한우개량의 기반이 되었다. ▶ 1945년 해방이후 3년간의 미군정 기간에는 모든 상황이 어려워 암흑기와 같았다. 1948. 8. 15. 대한민국 정부수립이후 정치, 경제, 사회, 등 전 분야에서 어려운 시기였으며 원조물자에 의존해 살아가야만 했던 때였다. 1949년 7월에는 ‘축우도살제한법’을 제정해 소의 도축을 제한했으나 1950년 6.25전쟁으로 소 사육두수가 39만두로 급감해 농사용으로도 부족한 실정이었다. 1952년에는 ‘축우보호지구’를 설정해 소의 보호·증식을 도모했으나 전쟁 중이라 잘 추진될 수가 없었다. 1954년 1월에는 기존의 축우도살제한법을 폐지하고 대신에 ‘가축보호법’을 제정해 우적등록제, 종우검사, 도살제한 및 금지가 시행되는 등 노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