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연재

<기획 시리즈>한국축산업 현안과 진단⑦ 【육류가공유통 산업】

열악한 산업 구조 개선…환경변화 능동적 대응
축산 성장 동력 ‘한 축’으로

[축산신문 김은희 기자]

 

국내 육류가공유통 산업이 사상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경기불황에 따른 소비 감소, 청탁금지법 시행, 시장개방 확대로 인한 수입육 급증, 소비트렌드 변화 등 유통환경이 급변하고 있지만 마땅한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돼지가 지난해 미곡을 제치고 농업 생산액 1위 품목으로 부상하는 등 축산업의 괄목할 성장이 이어지고 있지만 육류가공유통 산업만은 여전히 그늘 속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산 축산물 자급률 향상 과제
대다수 업체 영세…경쟁도 심화
유통 핵심주체로서 역할 미흡
도축·가공 일관처리능력 확보
유통 단계별 연동성 높여야

 

◆소비 위축
극심한 경기불황과 청탁금지법으로 인해 그 어느 때 보다 축산물 소비가 위축된 상황.
한우의 경우 청탁금지법이 시행된 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 도매가격이 kg당 평균 1만6천780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7.4% 하락했다. 돼지고기도 시장상황이 녹록치 않다. 외식경기 악화로 고용사정까지 나빠지면서 식당 공급물량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육 장악
육류유통 산업계가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현안이 바로 국내산 축산물의 소비 확대다. 2005년 32.1kg수준이었던 우리 국민들의 1인당 육류소비량은 2015년 47.1kg으로 크게 증가했다. 문제는 그 증가분 대부분을 수입육이 대체해 왔다는 점이다.
지난해 역대 최대인 36만1천톤의 쇠고기가 수입되는가 하면, 돼지고기 역시 31만8천톤이 수입, 지난 2011년 안동발 구제역 이후 급증한 물량에서 좀처럼 변화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국내 쇠고기 자급률은 40%대 마저 붕괴 됐고, 돼지고기도 80%를 밑돌고 있다. 물론 지난해 국내산 돈육 생산량이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지만 부위에 따라 판매 편차가 큰 만큼 육가공업계 입장에서는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운 구조가 고착화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육류품질 개선 대책
수입육이 급속히 시장을 잠식해 가고 있는 상황임에도 국내산 육류 품질은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점도 아쉬운 대목이다.
우선 도축장과 가공장의 수가 많다보니 자연히 출혈경쟁이 일상화되면서 도축비가 10년째 그대로다. 육류품질 유지를 위해 도체 심부온도를 낮추기 위한 급냉 터널 시설이 필수로 지목되고 있지만 국내에 이 시설을 갖춘 업체는 소수에 불과하다.
현실적인 어려움이 존재한다고 해도 법률로 가축절식을 의무화해야 할 정도로 육류의 품질에 대해 무관심한 일부 양축농가들의 인식도 문제다.

최근에는 수급불균형으로 어려움을 겪은 육가공업체들이 한우와 돼지고기 수출에 눈을 돌리며 육류 품질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목소리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다.


◆구조조정은 지지부진
현재 가동 중인 전국의 도축장은 모두 72개소에 달한다. 대규모 도축장에서 전국 소 도축물량의 61.6%, 돼지는 36.3%를 도축하고 있다.
소는 12개의 공판장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돼지 도축장의 경우 일반 도축장의 비율이 71.6%로 더 높은 상황.
이들 대부분 경매와 임도축 중심으로 운영되다보니 일관처리능력 부족 등 축산물 유통 핵심주체로서의 역할이 미흡한 실정이다. 도축장구조조정법의 일몰 이후에도 구조조정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는 이유다.
식육포장처리업계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식육포장처리업계는 도축장에서 지육을 받아 가공 후 정육점, 중간유통업체 등에 공급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 3천548개소가 운영중에 있는데 300두 미만의 작업규모를 가진 업체가 여전히 많다. 그러나 육가공 규모 상위 200개 업체를 다 합쳐도 시장점유율이 30%가 채 되지 않다보니 대형화, 규모화는 좀처럼 기대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특히 일관체계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경매시장의 왜곡된 가격 형성 추세는 축산물 유통단계별 연동성 결여로 이어지면서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