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4 (일)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돈육 공급과잉 심화…소비 특단책 시급

국내산 공급 증가…수입물량 올 사상 최고치 예상
재고량 쌓이지만 사회적 여건 따라 소비시장 ‘위축’
수입육 시장 잠식 가속화…국내산 경쟁력 높여야

[축산신문 김영길  기자] 공급과잉을 풀어줄 국내산 돼지고기의 소비 활성화 대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올 들어 국내 돼지고기 공급량은 국내산·수입물량 가리지 않고 과잉상황이다.
올 1~8월 국내 돼지 등급판정 두수는 1천121만2천두로 전년동기 대비 4.0% 늘었다.
이 기간 수입 돼지고기 물량은 32만9천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 많다. 수입산의 경우 이 추세대로라면 40만톤을 넘어 사상 최대 물량이 예상된다.
이렇게 공급물량이 증가하면서 국내산·수입물량 모두 재고도 쌓여가고 있다.
7월 기준으로 국내산 돼지고기 재고량은 3만6천톤에 달한다. 전년동기 대비 무려 49.3%나 많다.
수입산 정육 재고 역시 8만8천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7% 증가했다.
하지만 소비시장은 크게 위축돼 있다.
장기간 경기침체와 주 52시간 근무, 회식문화 감소 등 사회적 여건변화에 따라 돼지고기 소비시장이 꽁꽁 얼어붙었다.
여기에 수입 돼지고기 잠식은 오히려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수입육에 대한 거부감이 사라지고, 이베리코 등 고품질 차별화 전략이 국내산 돼지고기 산업을 위협하고 있다.
햄·소시지, 식자재, 외식업체 등 원료 시장에서도 수입육으로 대체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른 돼지고기 자급률 하락세도 심각하다.
얼마 전만해도 80%대를 그리던 국내 돼지고기 자급률은 지난 2016년과 2017년에는 70%대로 떨어졌다. 올해는 60%대로 내려앉을 형편이다.
이에 대해 많은 축산인들은 이러한 현실을 직시해 경각심을 갖고 국내산 돼지고기의 품질·가격경쟁력 향상과 더불어 수요처 발굴 등 보다 적극적으로 소비 촉진 활성화에 나서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