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권역별 방역 따른 입식차질 우려…올해 더 심화될 듯
지난 한해 국내에 수입된 종돈 2마리 가운데 최소한 1마리 이상이 종돈장이 아닌 양돈장으로 직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추세는 권역별 A
SF 방역기조와 함께 더욱 심화될 전망이어서 종돈업계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한국종축개량협회(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지난해 양돈장에서 수입한 종돈은 요크셔 467두, 듀록 25두, 랜드레이스 23두 등 모두 515두인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수입량 911두의 57%에 해당하는 물량이다.
이는 전년대비 무려 19%p로 상승한 것으로, 양돈장 직수입물량이 50%를 넘어선 것은 처음이다.
높은 번식성적에 대한 기대심리, 후보돈 외부구입 시 질병오염 우려등으로 일반 양돈장에서도 폐쇄돈군 운영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는 반면 종돈장의 경우 신규 수요가 없었던 데다 불투명한 양돈시장, ASF와 코로나 19의 여파속에서 종돈도입을 미뤄온 게 그 주요인으로 풀이되고 있다.
주목할 것은 ASF 발생을 계기로 한 정부와 지자체의 권역별 돼지반출입 금지조치가 양돈장의 종돈 직수입 확대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이다.
주요 가축질병이 발생할 때 마다 권역별 돼지반출입이 반복되고, 이로인해 후보돈 입식이 차질을 빚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지면서 종돈 직수입을 통해 후보돈을 자체적으로 생산해 사용하려는 농가들이 늘고 있는 것이다.
종돈 수입업체의 한 관계자는 “규모화 된 양돈장을 중심으로 수입 문의가 급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올 한해 종돈 수입량이 2천두가 넘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며 “지난해 정도는 아니더라도 양돈장 직수입 비중이 예년보다는 높을 전망”이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종돈업계는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지만 지금 당장은 마땅한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한 종돈장 관계자는 “폐쇄돈군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리스크를 감안할 때 종돈 직수입에 따른 경제성이 양돈농가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최근의 추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거나 더 이상 확대 되지는 않을 것임을 의미하는 것”이라면서도 “다만 권역별 방역조치가 변수다. 우리 종돈업계로선 큰 악재가 아닐 수 없다”고 우려를 감추지 못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