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양돈

ASF 발생 3년…출구전략 ‘깜깜’

정부·양돈업계 무관심 논의조차 없어…실기 우려

[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백신 시나리오’도 부재…멧돼지 접종여부도 ‘아직’


국내 첫 ASF발생 이후 3년에 가까운 시간이 흐르면서 ASF 출구전략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수의전문가들 사이에서는 ASF에 대한 직간접 경험과 정보가 쌓인데다 단기간내 ASF 근절을 기대하기 어려운 현실을 감안, 이제 ‘방역을 위한 방역’이 아닌  ‘산업을 위한 방역’으로 전환이 이뤄져야 한다는 분석이 점차 설득력을 얻어가고 있다. 

철저히 과학적인 시각에서 접근한, 이른바 ‘위드 ASF’를 위한 출구전략의 필요성에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정부와 양돈업계의 무관심 속에서 출구전략을 위한 논의는 그 흔적도 찾아보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양돈장 8대방역시설을 골자로 한 가축전염병예방법 시행규칙 개정을 강행하려는 정부와 이를 반대하는 양돈업계가 정면 충돌하고, 권역화 방역에 따른 양돈현장의 폐해 등 지엽적인 논란에 모든 관심이 집중돼 있기 때문이다. 

한 수의전문가는 “가전법 개정이 중요 현안인 건 분명하다. 다만 ASF의 그늘에서 벗어나 양돈산업의 생태계 복원이라는 큰 그림도 함께 그려져야 할 시점”이라며 “권역화 방역의 개선 역시 ASF 출구전략 차원에서 접근돼야 할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ASF 출구전략 논의 과정에서 다뤄져야 할 백신 역시 정부와 양돈업계의 관심사에서 멀어져 있는 실정이다. 심지어 전국 확산이 현실화 되고 있는 야생멧돼지의 ASF 백신 접종 여부 조차 아직 구체적인 논의는 이뤄지지 않고 있어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물론 ASF 백신에 대한 거부감이 이러한 추세의 한 원인이 되고 있는 건 사실이다.

중국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백신의 안전성과 효능이 검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섣부른 접근은 오히려 더 큰 피해와 혼란을 유발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이 문제가 해결된다고 해도 이상육피해와 예산부담 등 추가적인 장애물이 뒤따를 수 밖에 없다.

무엇보다 공기전파가 가능한 구제역과 달리 ASF의 경우 매개체에 의한 직접 전파만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는 만큼 국내 양돈장의 추가 발생이 없는 시점에서 굳이 백신을 검토할 필요가 있겠느냐는 분석도 나온다.

하지만 구제역 사태를 경험했던 수의전문가들의 생각은 다르다.

또 다른 수의전문가는 “ASF 백신을 고집하는 게 아니다. 국내 ASF 발생 추이에 따른 백신 시나리오가 필요하다는 것”이라며 “이를통해 발생 추이와 관계없이 아예 백신은 고려치 않는다든지, 만약 백신을 고려한다면 도입 시점은 언제가 돼야 하는지 등 그 구체적인 기준과 방법을 제시, 양돈현장에서 예측 가능토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급속한 바이러스 확산 시기가 돼서야 뒤늦게 백신을 검토, 결국 골든타임을 놓치며 돼지 사육두수의 30%가 살처분 되고 양돈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유발했던 지난 2010년 안동발 구제역 사태의 재현은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와 양돈업계의 향후 행보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