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문 등 토대 경락가 높은구간 지표화…검증 거쳐 확정
[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한돈미래연구소(소장 김성훈)가 한돈 고급화를 위한 지표를 제시했다.
도매시장에서 가장 높은 가격을 받고 있는 기존의 형질 기준에 ‘지방 수준’ 과 ‘명도’ 를 추가한 게 바로 그것이다.
지난해 9월부터 올해 7월까지 이뤄진 ‘한돈고급화 전략 수립을 위한 유통 및 소비친화적 품질 등 개선방안 연구’가 그 토대가 됐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책임연구원 서강석 교수)은 지난 3월31일 열린 최종 보고회를 통해 고품질(프리미엄) 한돈의 기준안으로 ▲도체중 88~93kg ▲등지방두께 24~27mm ▲도체지방 수준 30~35% ▲명도(L* D65 광원기준 )▲ 40~50 등 4개 지표 및 기준을 제시했다.
순천대학교 서강석 교수는 이와관련 “실제 유통현장에서 고품질 돼지고기가 높은 가격에 유통되고 있다는 점에 착안, 도매시장 경락단가와 도체중 및 등지방두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라며 “자동등급판정기계인 VCS2000과 오토폼에서 생산된 실제 데이터를 활용했다”고 설명했다.
형질별로 도매시장에서 가장 높은 경락단가를 받은 구간을 지표로 설정했음을 밝힌 것이다.
현행 등급판정 기준에는 포함돼 있지 않으나 마블링과 지방함량이 돼지고기 품질을 평가하는 주요 기준으로 나타난 선행 및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지방수준’ 도 한돈고급화의 지표 형질에 포함시키되 이 역시 경락단가가 가장 높은 구간을 선택했다는 설명이다.
서강석 교수는 이번 한돈고급화 지표에 ‘명도’ 가 포함된 배경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보수력’이 돼지고기 품질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지표이지만 현장 측정이 용이하지 않은 만큼 VCS2000 등 자동등급판정기계를 활용해 판정리 가능한 ‘명도’ 값을 현장 측정 지표로 설정했다는 것이다.
한돈미래연구소는 올해안에 지방수준과 명도 측정을 위한 자동등급판정기계의 소프트웨어 개발, 도출된 데이터와 실측 자료의 현장 실증, 최종 적정범위 산정 등 이번에 제시된 지표 검증 과정을 거쳐 고품질 돼지고기에 대한 지표를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