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상인 피해 우려…대구·경북도에 협조요청
[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대구축산물도매시장 폐쇄가 가져올 후폭풍에 양돈현장의 우려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이에따라 도매시장의 운영기간 연장을 희망하는 양돈농가들의 목소리가 각계 요로에 전달되고 있다.
대구시는 오는 2024년 3월을 끝으로 대구축산물도매시장내 도축장을 폐쇄키로 하고 위탁 운영업체인 신흥산업과 추가적인 계약을 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축산물 유통시설에 대해서는 이전을 추진한다는 계획이지만 대구시의 방침대로 라면 사실상 도매시장으로서 기능을 상실하게 될 것이라는 게 전반적인 시각이다.
대한한돈협회는 이와관련 그 대안이 마련될 때까지 대구축산물도매시장 운영이 연장될 수 있도록 대구시와 경상북도에 협조를 공식 요청했다.
한돈농가들의 심각한 혼란은 물론 도축 부산물 상가의 정상적인 운영도 불가능, 대구시 시장 상인들의 경제적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돈협회에 따르면 신흥산업은 모돈과 비규격돈 거래에 특화, 대구, 경산, 구미 등에서 소비되는 ‘삶을거리용’ 돼지를 하루 700~900두 작업해 왔다. 그러나 고령축산물공판장과 경남 김해 소재 부경축산물공판장 등 인근의 또 다른 도매시장에서는 소비시장 및 시설여건이 부족, 신흥산업 폐쇄시 그 물량을 소화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돈협회는 축산물 시장 발전과 공익 차원에서라도 해당 지자체 차원의 적극적인 협조를 희망했다.
대구지역 양돈인들과 신흥산업측도 이러한 현실을 감안, 대구시와 경북도에 대책을 건의하는 한편 국회 차원의 관심과 협조를 구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 8일 경북 경산에서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 소속 박주민 의원(서울 은평갑)과 김경숙 경북도의원 등을 만나 대구축산물도매시장 폐쇄가 가져올 여파와 대책등을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