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성섭 대표 (주) 바이오비
작년부터 올해 전국적으로 바이러스 매개체인 응애 방제에 실패하여 많은 봉군을 잃어버리는 심각한 피해를 겪고 있다. 채밀기간에는 꿀은 천연식품이기에 분무 방식보다는 가급적 훈연·기화방식 (개미산겔 제형 또는 개미산 액상 30%(농도에 유의))을, 일반 관리시기인 채밀 전(3~4월), 집중관리 시기(7~9월), 주의 관리시기(10~11월)에는 분무와 훈연을 응애 피해 경중에 따라, 5~10일 간격으로 처리하는 것을 추천해 드린다.
국내의 양봉 살충제는 대부분 중국 수입품으로, 선진국에선 아미트라즈 성분 이외 대부분 해외에선 금지한 성분이며, 응애는 농약 성분 침투 시, 응애는 자체 중화제를 사용해서 살충효과가 떨어진다. 이를 일반적으로 내성이라 한다.
특히 농약 성분의 살충제(플루발리네이트/쿠마 포스)는 꿀벌이 사라지는 군집붕괴현상(CCD)의 원인이기도 하다. 진드기, 응애는 소방이라는 완벽히 보호되는 차단시설에서 로열젤리와 유충의 단백질을 먹이 삼아, 어미 1마리가 일벌방(21일) 수벌방 (24일)만에 2~4마리 정도의 개체수를 증식하기에 이 전쟁에서 결코 이길 수는 없다.
따라서 농가들이 할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사항으로는 첫째, 정기적 소독(월 1~2회/이산화염소수 및 천연소독제 추천, 봉기구, 봉장주변 분무 방식 소독 추천)을 통해 가루설탕법처럼 응애가 꿀벌 몸에서 떨어지기도 하며, 응애로 인한 바이러스를 불활화시킬 수도 있다.
다만, 그동안 관행적으로 사용해 오신 락스, 주정, 울크론(우물소독제), 토치소독 등은 지양하며, 정기적 소독은 세균성 질병인 부저병, 석고병 등의 예방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작업이라 말할 수 있다.
둘째, 진드기, 응애 개체수(밀도)를 줄이기 위해 약제 작용기전 파악(특히 온도) 응애로 허가된 약품만 교차사용을 권장해 드리며, 정부 당국의 정기적인 검역 또한 필요하다. 특히 의약품 유기농업 응애 살충제로 허가받지 않고, 보조사료로 신고만 해놓고 꿀벌 독성등의 인허가를 위한 안전성 및 효과를 검증되지 않은 제품 은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셋째, 노동력 및 비용 절감을 위해 국내산 기구 (일반훈연기, 개조 훈연기, 전동훈연기 등)를 활용하면 기존 다른 방제기구보다, 꿀벌 피해를 줄이면서 방제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응애와 싸울 수 있는 영양보충(화분과 꿀 이 1순위)및 봉장 주변 환경 구축이 필요하다. 전 세계 꿀벌에 기생하는 모든 종류의 진드기, 응애가 들어왔고, 내성이 가장 빠른 농약 성분을 10년 이상 사용한 국내 양봉농가의 현실을 생각하면(일본 의 경우 농약에 의한 내성을 최소화 2~3년마다 약제 교체 및 신규 약품 개발비 지원), 기존 관행적인 응애 처리방식에서 조금 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처리법(‘연간 응애 방제법' 참조)으로 전환해야만 한다.
또한 공익직불금, 화분 및 설탕 사료화, 식품위생 법개정(기능성 꿀 출시), 피해가 가장 심한 응애 및 노제마 유발에 따른 꿀벌 바이러스 1종 법정전염병 관리로 보상체계 확립(이동제한 해소 필수)과 아울러 꿀 이모작(5월~9월), 양봉 방역약품 예산 확대 등으로 양봉농가가 자비를 들이지 않고 공익적 가치가 큰 양봉업에 종사하는 우리 양봉인들이 대우 받고, 존경받고 부농이 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올해는 기상 여건 악화로 천연꿀 채밀량이 적어, 양봉농가가 이중고를 겪게 되는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시기가 예상되며, 소중한 내 삶의 터전이자 소중한 직업인 양봉산업에도 언젠가는 정부로부터 보호받고 사회적으로 존경받는 직업군이 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