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경제파급효과 큰 축산과 축산인의 역할

축산경영학회에서 김경량 강원대교수등이 밝힌, 축산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결과는 축산업이 우리 국민 경제에서 결코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시켜줬다.
그 내용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축산업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축산 자체 생산규모의 3배가 넘는 29조원이나 된다는 것은 축산업에 대한 투자 효과가 매우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축산을 농업의 범주에 넣어서 살핀 나머지 투자 효과가 별로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막연하게 갖고 있는 인식을 불식시킬 수 있는 연구결과로 받아들여진다.
또한 축산업의 취업 유발효과가 1백만명에 달한다는 분석 결과도 놀랍다. 특히 축산업이 타 산업에 미치는 취업 유발효과가 58만명이나 된다. 이는 지난 3월 현재 통계청 발표 취업자중 부동산 및 임대업 분야 취업자수 47만7천명보다 10만명이나 많은 숫자임을 볼 때 취업난이 심각한 최근의 상황에서 축산업이 나름대로 우리 경제에 큰 기여를 하고 있음을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된다.
우리 축산업은 그동안 농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즉 농업조수익중 축산의 비중이 27% 수준에 달하고 농업 품목별 10대 소득원중에서 축산이 2위부터 5개품목이 모두 포함돼 있는 것으로 축산업의 위치를 파악해 왔으나 이제 축산업이 우리 농업내부에서 뿐만 아니라 우리 경제 전체에 미치는 효과가 결코 적지 않음은 축산인으로서 자긍심을 가져도 좋을 듯 하다.
그러나 여기서 우리가 간과해서 안 될 것은 축산업의 이같은 파급효과가 축산물 수입이 늘어날수록 줄어든다는 점이다. 이는 국가경제적으로 봐서는 우리 축산업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각종 인프라 구축등 정책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축산농가의 입장에서는 우리 축산물의 품질과 안전 경쟁력에 못지 않게 가격 경쟁력도 중요하다는 인식이 요구된다.
유가공이나 육가공업계등 연관산업계에서 수입 축산물이 아닌 우리 축산물을 원재료로 하는 가공품 생산이 가능할 수 있도록 가격 경쟁력을 갖추지 않으면 우리 축산업이 설 자리를 차츰 차츰 잃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가격경쟁력 문제는 우리 축산물의 소비 촉진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현안이 되고 있다.
우리 축산물이 아무리 좋다고 하더라도 우리 축산물을 소비하는데 있어서 소비자들에게 가격에 대한 부담을 준다면 우리 축산물 소비도 한계에 부딪힐 수 있기 때문이다.
아무튼 우리 축산에 대해 막연하게 갖고 있는 부정적 인식을 불식시킬 수 있는, 우리 축산업의 역할과 위치를 객관적으로 계량화시킨 연구결과가 나온 것은 우리 축산업의 가치를 재인식시킨 매우 의미있는 것임을 다시 한 번 강조하며 이를 계기로 우리 축산농가도 축산업의 가치를 지키고 발전시키기 위해 해야할 바가 무엇인지 인식했으면 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