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낙협이 지난 13일 총회에서 조합원 만장일치로 총량쿼터제가 전제된 원유 직결 체제 전환 방침을 결정했다. 다만 직결체제 전환 시기 등에 대해서는 낙농육우협회, 농림부와 충분한 협의를 거친 후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낙농발전대책 논의가 또다시 새국면을 맞았다. 그동안 낙농발전대책 논의 과정을 돌이켜 보면, 지난 7월 29일 첫 낙농발전협의회를 가지면서 정부의 낙농발전대책시안이 제시됐으며 이후 10월 19일부터는 실무위원회가 가동되면서 세부 논의에 들어갔다. 그러니까 정부의 낙농발전대책 시안을 놓고 논의한 세월이 4개월이 넘게 걸린 셈이다. 4개월이라는 기간이 짧다면 짧지만 길 다면 긴 시간이다. 물론 논의 과정에서 낙농육우협회에서 독자안을 제시하는 등 새로운 국면을 만들고 나름대로 고민하는 모습을 보여줬으나 결국은 큰 진척이 없이 정부의 낙농발전대책 시안에 대한 논의가 합의점을 찾지 못한 상황에서 충북낙협의 정부 시안에 입각한 직결체제 전환 결정은 ‘결론은 없고 논의만 무성한’ 낙농발전협의회의 낙농발전대책 논의에 큰 변수가 된 셈이다.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낙농육우협회의 반응이다. 낙농육우협회는 충북낙협의 이 같은 원유직결체제 전환 방침이 알려지자 긴급 회장단회의와 청년분과위원회, 이사회를 연달아 개최하고 농림부가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직결 체제 전환을 추진하고 있는데 대해 강한 불만을 표시했다. 그것은 회장단의 ‘우리의 입장’이나 청년분과위의 ‘성명서’에 나타난 ‘부도덕’ ‘농가 분열 조장’ ‘이중성’ ‘밀어 붙어기’등의 용어에서도 반발의 강도가 어느 정도인 지 짐작된다. 특히 낙농육우협회가 이 같은 성명서를 통해 강조하고 있는 것은 충북낙협의 직결체제 결정이 단순히 충북낙협의 독자적인 행동이 아니라 정부와 교감을 이룬 가운데서 나온 것으로 보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당분간 낙농발전대책 논의는 또 다시 지연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고, 낙농가와 정부의 대치 구도를 피할 수 없게 됐다는 점에서 낙농 산업의 장래를 걱정하는 뜻있는 낙농인들의 마음을 안타깝게 하고 있다. 낙농 산업과 관련, 시각을 조금만 넓혀 보면 우리 낙농이 처한 현실은 결코 낙관적일 수 없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우유 소비의 근간이 되고 있는 아이들의 숫자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사실이 우리 낙농업계를 움츠려들게 한다. 여기다 시장 개방에도 맞서야 하는 낙농업계의 입장 또한 안타깝다. 이런 상황에서 낙농업계에 요구되는 것은 첫째도, 둘째도 낙농가들의 하나 된 마음이다. 낙농과 관련한 주변의 변화된 여건을 무시한 채 낙농가들의 권익만 생각하는 닫힌 마음이 아니라 변화된 여건에 당당하게 부응하면서도 권익을 찾을 수 있는 열린 마음으로 하나되는, 단합된 힘이 요구되는 것이다. 그런 열린 마음으로 낙농발전대책이 더 이상 논의만 무성하고 결론은 없는 논의가 반복되지 않기를 바란다. 한편 그동안 총량 쿼터제등 협동조합 중심의 직결체제 전환을 지속적으로 건의해온 낙농관련 조합장들도 충북낙협의 이번 원유 집유체제 전환 결정 방침을 예의 주시하고 있어 오는 16일 계획된 협의회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