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5.31 지방선거, 축산인 선전 기대한다

5.31지방 선거가 바로 코 앞이다. 이번 지방 선거에는 축산인들의 ‘출사표’가 부쩍 눈에 띈다. 자치단체장에서 기초의회 의원까지 그 숫자를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출사표를 던진 축산인들의 면면을 보면 전직 농림부 고위 관료에서부터 지역 축협조합장, 축산단체 임원은 물론 지역 축협 조합원 등으로 평소 축산에 대한 남다른 관심과 애정을 가진 인사들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같이 축산에 대한 특별한 관심과 애정, 그리고 철학을 가진 인사들이 소속 정당 여부나 무소속을 따지기 이전에 지자체장 또는 지방 의회에 대거 진출, 우리 축산이 우리 국민의 건강을 지키는 산업으로 더욱 당당하게 자리매김하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
지방 자치시대에서 축산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진 인사들의 지자체나 지방의회 진출이 그 지역의 축산발전에 매우 도움이 된다는 것은 불문가지다.
물론 지방자치에서 축산이라는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그렇게 크지 않을 수 있다. 그런 만큼 여기서 축산인들이 지자체나 지방의회에 진출해서 무조건 축산에만 관심을 가지기를 바라는 것은 아니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축산이 지니고 있는 가치만큼이라도 관심과 애정을 가져 주기를 바라는 것이다.
우리 축산 산업을 돌이켜 보면, 지난 90년대 중반 우루과이라운드 협상 타결과 동시에 WTO체제 출범으로 농축산물시장 개방이 가속화된 이후 축산업이 전업으로 규모화되면서 농업이라는 울타리의 작은 산업이 아니라 농촌 경제를 주도하는 산업으로 탈바꿈했다. 최근 쌀보다 앞서는 축산물 생산액 통계 등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는가 하면 품질 차별화를 통해 강화된 경쟁력 측면에서도 주목된다.
그럼에도 우리 축산산업이 당당한 농촌 경제 주도산업으로서 제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축산은 선진국형 건강한 식생활을 뒷받침할 동물성 단백질 식량을 공급하는 식량산업이면서 정작 그 식량을 생산하는 축사 부지는 농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일부 지자체의 경우 축산이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엄연한 비중에도 불구하고 축산 산업을 한갓 환경 오염 산업으로 치부하는 례가 있음은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반면, 축산이 지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제대로 인식하고 축산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는 지자체도 적지 않다. 이들 지자체들이 그렇게 할 수 있었던 것은 ‘축산은 질병 걱정 많고 냄새로 골치아픈 산업’이라는 막연한 인식을 불식하고 편견없이 축산업을 바라봤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결국 우리가 축산인들이 가능한한 지자체나 지방의회에 되도록 많이 진출하기를 바라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하겠다.
아무튼 이번 5.31 지방 선거를 계기로 우리 축산이 더욱 발전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