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8 (토)

  • 맑음동두천 17.1℃
  • 맑음강릉 25.0℃
  • 맑음서울 19.4℃
  • 맑음대전 20.2℃
  • 맑음대구 20.7℃
  • 맑음울산 19.9℃
  • 맑음광주 21.6℃
  • 맑음부산 18.9℃
  • 맑음고창 ℃
  • 맑음제주 18.7℃
  • 맑음강화 17.2℃
  • 맑음보은 17.1℃
  • 맑음금산 18.6℃
  • 맑음강진군 15.9℃
  • 맑음경주시 18.7℃
  • 구름많음거제 16.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후계인력’ 체계적 양성 시급하다

농진청 농업전문학교의 올해 정시 모집에 3백31명이 지원해 3.45대 1의 경쟁률을 보인 가운데 축산학과가 4.54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고 한다. 특히 한우 전공은 7.87대 1이나 되는 경쟁률을 보임으로써 농촌의 경제를 이끌어갈 산업으로 축산이 매우 전망있는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읽을 수 있게 한다.
이는 농축산업 경제 통계로 뒷받침되고 있기도 하다. 농촌 경제에서 축산 생산액이 쌀 생산액을 앞질러 11조를 넘어서고 있음은 이 란을 통해서도 여러번 언급된 바 있다. 때문에 농촌에서 삶의 행복을 꿈꾸는 젊은이들이 앞으로 희망있는 품목으로 축산을 꼽는 것은 당연하다 하겠다. 더욱이 농업 전문학교 입학생의 상당수가 축산 대물림을 희망하는 학생들이라는 점에서 기대가 크다.
그런데, 문제는 이렇게 축산에 대한 꿈과 희망을 갖고 축산에 처음 뛰어드는 학생이나 대물림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는 학생들이 축산 현장에 들어 왔을 때 그런 꿈과 희망을 지속적으로 가질 수 있느냐는 것이다.
안타깝게도 대물림을 하는 후계자가 됐든, 새로 축산을 시작하는 새내기 축산인이 됐든 축산 현장에서 꿈과 희망을 갖고 일할 수 있는 산업 인프라와 경쟁력있는 산업으로 성장 발전시켜나갈 수 있는 정책적 제도적 기반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다는 지적이다.
물론 농지법 개정으로 축산의 농지 진입을 제도적으로 보장하고 있으나, 실제 개정 농지법이 시행되더라도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축산의 농지 진입을 가로막는, 농림부가 아닌 타부처의 관련 법안이 있는데다 주민들의 반발 등 법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축산이 분명 농촌 경제를 주도할 산업이고, 그래서 축산을 선택하는 젊은 후계자들이 적지 않음은 매우 고무적이다. 그럼에도 정작 이들 후계자들이 현장에서 경쟁력있는 축산을 영위할 수 있는 기반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음은 기성 축산인들로서는 부끄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축산 후계인력이 축산에 대한 긍지와 희망을 갖고 일할 수 있도록 정부와 산업계, 학계의 공동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그 중에서도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이 긴요하다.
다시 말해 정부가 직접 나서서 젊은 후계자들이 신명나게 일할 수 있도록 장애물을 걷어내고 길을 열어주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새해 축산정책 키워드는 친환경, 안전, 후계인력이 돼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후계자가 친환경 축산을 할 수 있는 축산입지에서부터 생산 유통 컨설팅과 고품질 축산물에 대한 가격차별화가 시장에서 이뤄질 수 있는 종합 지원 시스템이 요구된다 하겠다.
아울러 강조되는 것은 축산 대물림이 어려운 경우 어떻게 할 것이냐는 것이다. 현재 축산지도자로서 축산업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한 축산인들이 농장의 대를 이을 후계자가 없어 고민하는 모습을 적지 않게 본다.
이런 경우 일본에서는 농장을 자식에게 물려주지 않고, 능력있는 훌륭한 농장 관계자나 축산 전문가들에게 농장 경영을 잇게 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고 한다. 타산지석으로 삼을 만한 사례라 할 것이다.
아무튼 축산후계인력 양성은 우리 축산 미래를 위한 투자다. 그것은 각종 FTA 등 개방시대에 대비하는 원모(遠謀)이기도 하다. 축산후계인력 양성을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방안이 조기에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