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시행되는 음식점 원산지표시제와 쇠고기 생산이력추적시스템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이 상무는 “한우산업의 발전과 소비자들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도단위 광역브랜드의 지속적인 육성을 통해 소규모 브랜드의 연착륙을 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상무는 또 “농지법 개정으로 농지에 축사진입이 올해부터 허용될 것으로 보인다”며 “농협은 친환경축사 표준설계도를 만들고 정부와 협조해 전국적으로 시범단지를 만들어 농지에 축사를 짓고자 하는 축산인들이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육성해 나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소비자시대를 맞아 고객니즈에 맞는 위생·안전·품질을 갖춘 축산물 생산과 지속적인 공급이 중요하다”는 이 상무는 “맞춤형 컨설팅을 통해 현장 양축가들이 소비자로부터 신뢰받는 축산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 상무는 특히 “브루셀라와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소모성 질병 등 각종 가축질병의 조기근절과 예방을 위한 행정기관과 일선축협, 양축가들과 협조해 철저한 위생방역대책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축산경제기획실장과 축산지원부장, 농업경제기획실장을 거쳐 지난 1일 축산유통담당 상무로 승진한 이정현 상무는 건국대 축산대학을 나왔으며 현장실무에 밝은 축산전문가로 평가받고 있다. 신정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