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단체가 소비지 유통실태 정기적 조사·공표방안도 추진
농림축산식품부가 축산물 유통구조 개선 대책이 잘 추진되고 있는지를 점검하는 등 유통문제 해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농축산부는 지난달 30일 ‘축산물 유통포럼’을 열고, ‘축산물 유통구조 개선 종합대책’의 주요 내용인 협동조합형 패커 육성, 산지-소비지 가격 연동형 소매 판매점 확대, 식육부위별 수급 및 가격 불균형 해소 등에 대한 추진 상황을 점검했다.
농축산부는 축산농가-조합간 계열화 체제를 확립하고, 도축·가공·판매를 일관 처리하는 협동조합형 패커를 육성, 유통단계를 축소해 나감으로써 안심축산 시장점유율을 오는 2016년까지 소 37.1%, 돼지 25%로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산지 가격이 하락할 경우 이를 소비지 가격에 빠르게 반영하기 위해 민간소매업체의 가격결정을 선도할 수 있도록 생산자단체인 농협계통 정육점과 정육식당 설치도 오는 2016년까지 정육점 1천개소, 정육식당 600개소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등심(소), 삼겹살(돼지) 등 특정부위에 편중되어 있는 축산물 소비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정육점 등에서도 수제햄 등 식육가공품을 제조·판매할 수 있도록 하고, 덩어리가 큰 발효생햄 등을 분할해서 판매할 수 있도록 규제를 합리화하는 등 식육가공산업을 육성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농축산부는 이에 맞춰 ‘식육처리기사’ 자격증 신설을 추진하고, 교육 인력 및 시설을 갖춘 전문교육기관을 지정하는 등 전문인력 양성 기반을 마련하는 한편, 뒷다리 등 저지방 부위를 활용한 다양한 가공제품 등 식육가공 분야 R&D 연구 확대를 추진키로 했다.
농축산부는 유통구조 개선 대책이 제대로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소비자단체가 축산물의 소비지 유통실태(산지-소비지 가격 연동 여부 포함)를 정기적으로 조사·공표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농축산부는 국정과제의 차질없는 추진을 위해 축산물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세부과제별로 정기적으로 실적을 점검하고, 축산물 유통 분야 전문가가 참여하는 유통포럼을 정기적으로 개최하는 등 추진방향을 논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