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종합

마을 이장도 상비약 판매 추진

박민수 의원, 약사법 개정안 발의

[축산신문 김영란 기자]

 

 

박민수 의원은 구랍 26일 의료취약지역에서 이장이나 마을 대표자들도 상비의약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약사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현행 약사법에서는 약국이 아닌 장소라 하더라도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안전상비의약품 판매자로 등록하면 안전상비의약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만 안전상비의약품 판매자로 등록하려는 자는 24시간 연중 무휴(無休) 점포를 갖추고 일정한 등록기준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24시간 편의점이 없는 580개 읍ㆍ면 지역의 경우 주민의 대부분이 근골격계질환 등 만성질환을 앓고 있음에도 의료취약지역이 많아 응급의료체계가 원활하게 제공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도시지역보다 안전상비의약품의 판매가 더욱 절실한 실정이다.
2012년 11월 15일부터 해열제, 감기약 및 소화제 등 일부 안전상비의약품이 24시간 운영하는 편의점에서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농산어촌의 의료사각지대는 여전히 심각한 상황으로 쉽게 개선되지 않고 있다.  
농산어촌의 나이든 어르신들이나 장애인들은 감기약이나 소화제 하나만 구입하려고 해도 몇 키로 씩 이동을 해야 하기 때문에 사실 약품을 구입하는 게 거의 불가능하다. 상비의약품 구입 문제는 실제 농산어촌 거주자의 가장 큰 어려움 가운데 하나다. 가벼운 질병임에도 적시에 약품을 구입할 수 없어 병을 키우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 법이 통과되면 24시간 연중 무휴 점포가 없는 농어촌지역의 마을의 이장도 안전상비의약품 판매자로 등록할 수 있고 안전성 확보와 품질관리에 관한 교육을 받으면 안전상비의약품을 판매할 수 있게 된다.
박 의원은 “편의점이 없는 농산어촌에서도 의약품을 쉽게 구입할 수 있어서 나이든 어르신이나 몸이 불편하신 분들에 대한 취약한 의료환경이 상당히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지속적으로 의료환경개선에 관심을 갖고 정책적 대안을 마련할 것이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